본문영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조선업 재건 기간 미국과 가까운 다른 나라로부터 선박을 구매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4월11일 조선 관련 종목들이 강세다.
이날 오전 9시30분 기준 현대힘스는 전 거래일 대비 4070원(29.97%) 오른 1만7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 외에도 HD현대마린엔진(9.24%), STX엔진(8.11%), 한화엔진(4.61%), HD현대마린솔루션(3.45%) 등 조선기자재 관련주들이 강세다.
조선주도 빨간불이다. HJ중공업은 전 거래일 대비 1210원(17.59%) 오른 8090원에 거래되고 있다. HD현대중공업(4.17%), HD현대미포(3.33%), 한화오션(2.74%), 삼성중공업(2.22%) 등도 오름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 "의회에 (선박 구매자금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지만,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조선 경쟁력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우리나라 조선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최근 미·중 안보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에서 시작된 중국산 항만크레인의 배제 움직임이 글로벌로 확산되는 분위기로 K-크레인의 미국시장에서의 수주 가능성도 커지는 등, 정부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항만크레인의 국산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HD현대삼호는 올해 초 여수광양항만공사로부터 2060억원 규모의 DTQC 관련 계약을 체결했으며, 작년 11월에는 동사의 골리앗 크레인과 컨테이너 크레인이 '세계 일류 상품'에 선정되어 K-크레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신항 1-2단계 부두를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적용할 계획으로, 총 8기의 DTQC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오는 2040년 완공 예정인 진해신항에서 추진될 DTQC 관련 발주 사업 규모만 내년부터 2034년까지 약 2조원에 이를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그간 축적해온 선박 제조 기술력과 제작 노하우가 항만 인프라 분야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HD현대삼호에서 올해 초 수주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 제작에 대한 계약에 대해서도 협의 중으로 부산신항 2-6단계 DTQC 제작이 마무리 되면 바로 이어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 제작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만 인프라 구축 트렌드에 발맞춰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현대힘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8.0% 증가한 2232억원, 영업이익은 49.0% 늘어난 215억원, 당기순이익은 63.7% 증가한 166억원을 기록해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수주를 통해 현대힘스의 신사업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실적 성장과 함께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31.64억으로 전년대비 17.9% 증가. 영업이익은 215.49억으로 48.9%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58억으로 63.6% 증가.
지난 1월 26일 코스닥에 상장한 현대힘스는 상장 준비 과정에서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한 친환경 사업과 독립형 탱크 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 개최된 행사는 이러한 성장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한편, 경기순환 산업인 조선산업의 높은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현대힘스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서 애널리스트들에게 지난 9월 신규 매입한 대불 산업 단지 내 신규공장(현대힘스 대불4공장)을 공개했으며, 이 공장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해당 공장은 상장 당시부터 밝혔던 독립형 탱크 제작 공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어 "주요 고객사인 HD현대삼호에 2020년부터 약 2만톤 가량의 LPG 탱크 상부를 납품한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LPG 및 암모니아 탱크 완제품 생산이 가능하도록 공정 범위 및 생산량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며 "새로운 사업으로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제작을 위하여 HD현대삼호와 협업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고 덧붙였다.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시장은 현재 중국의 ZPMC사가 전세계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요 항만국을 중심으로 스마트 항만 개발이 확대되고 있고, 미-중 안보갈등 등의 이슈로 중국산 항만 크레인을 배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항만 크레인 국산화를 육성하는 등 시장 흐름이 과거와 달라지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 HD현대삼호는 자동 항만 크레인(DTQC) 제작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회사로 최근 부산신항 2-6단계 DTQC 크레인을 수주한 바 있다.현대힘스 관계자는 "HD현대삼호는 현대힘스가 9월 인수한 대불 4공장을 임대해 현재 DTQC 크레인을 제작중이며, 현대힘스는 항만 크레인 사업을 조선업황의 경기 변동성을 줄여줄 아이템으로 주목하고 있으며, HD현대삼호와의 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이번 양일간 있었던 애널리스트 초청 행사는 대불지역 생산공장을 둘러보고 회사측의 기업현황과 신사업에 대한 발표에 이어 애널리스트와의 Q&A 로 진행되었다. 현대힘스는 이번 애널리스트 탐방 행사를 계기로 시장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가 수주 물량을 털어내고 고부가가치 수주로 3.8배의 영업익이 증가한 현대힘스가 조선 친환경 연료 저장 탱크의 무궁무진한 발주로 고속 성장을 이어간다.
2050년까지 이미 운행 중인 선박 외에 친환경 전환을 의무화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디젤 엔진을 LNG,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의 연료를 활용한 엔진으로 교체해야 한다. 특히 연료 저장을 위해선 대형 탱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4월18일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현대힘스는 선박용 탱크 시설을 신성장 동력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친환경 선대로의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탱크사업 진출 위해서 모색 중”이라며 “각종 친환경 연료 저장에 필요한 탱크로 무궁무진하게 발주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현대힘스는 저가 수주 물량을 털어내면서 지난해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이뤘다.
연결기준 연간 매출액은 18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7억 원에서 144억 원으로 3.8배로 성장했다.
2022년까지의 저가 수주 물량 해소하고, 지난해부터 액화천연가스(LNG)선과 대형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선들 인도를 시작한 영향이다. 조선업계 인력난에도 목표 납품량의 100%를 채웠다고 한다.
현대힘스는 선박의 블록(부분)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최근 국내 조선사들의 고부가가치 수주가 늘어나면서 실적도 동반 상승 중이다. 주요 고객사는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국내 대형 조선사로 지속적으로 조선 기자재를 공급 중이다.
현대힘스는 세계적인 탄소저감 노력에 따라 친환경 선박 수요가 커질 것을 대비해 탱크사업 확대를 도모한다.
세계 해운업계는 단계적으로 친환경 선박의 채택 압박을 받고 있다. 지난해 7월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 무렵까지 국제 해운 산업의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로 합의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IMO 회원국들은 영국 런던 본부에서 열린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채택했다. IMO에 따르면 현재 해운산업 분야의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3%를 차지한다.
해운업계는 2050년까지 이미 운행 중인 선박 외에 친환경 전환을 의무화 해야 한다.
이럴 경우 디젤 엔진을 LNG,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의 연료를 활용한 엔진으로 교체 수요가 생겨날 수 있다. 특히 연료 저장을 위해선 대형 탱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현재 2조2000억 원 규모인 친환경?첨단 선박 장비 시장은 연평균 세계 시장 성장률 14%를 적용해 2027년 12조50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1.88억으로 전년대비 30.7% 증가. 영업이익은 144.64억으로 285.0% 증가. 당기순이익은 101.17억으로 131.7% 증가.
선박 블록 관련 조선기자재업체. 선박블럭, 배관 및 조선기자재 등의 제작을 전문으로 거래하는 B2B(기업간거래)를 주된사업으로 영위. 주요 매출처는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국내 주요 조선사임.
환경장비제조사 원하이테크를 종속회사로 보유. 원하이테크는 압력전환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을 이용한 가스분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산업용 산소 및 질소 발생기를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공급. 최대주주는 허큘리스홀딩스(53.75%), 주요주주는 HD한국조선해양(21.25%).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7.53억으로 전년대비 19.66% 증가. 영업이익은 37.57억으로 39.69% 감소. 당기순이익은 43.66억으로 7.28% 감소.
작년 1월26일 상장, 당일 292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0월31일 958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1월20일 223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235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76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83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 목표가는 1차로 20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2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조선업 재건 기간 미국과 가까운 다른 나라로부터 선박을 구매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4월11일 조선 관련 종목들이 강세다.
이날 오전 9시30분 기준 현대힘스는 전 거래일 대비 4070원(29.97%) 오른 1만7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 외에도 HD현대마린엔진(9.24%), STX엔진(8.11%), 한화엔진(4.61%), HD현대마린솔루션(3.45%) 등 조선기자재 관련주들이 강세다.
조선주도 빨간불이다. HJ중공업은 전 거래일 대비 1210원(17.59%) 오른 8090원에 거래되고 있다. HD현대중공업(4.17%), HD현대미포(3.33%), 한화오션(2.74%), 삼성중공업(2.22%) 등도 오름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는 조선업을 재건할 것"이라면서 "의회에 (선박 구매자금을) 요청해야 할 수도 있지만,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조선 경쟁력 세계 1위를 달리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우리나라 조선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
선박 블록 제조기업 현대힘스가 HD현대삼호와 102억원 규모의 항만크레인에 대한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했다고 3월10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말 HD현대삼호와 체결한 항만크레인 제작 관련 MOU가 빠르게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진 결과다.이번 계약은 부산신항 2-6단계 공사에 필요한 컨테이너 항만크레인(DTQC) 제작 건으로, 이달 7일부터 오는 9월 3일까지 진행된다. 계약 규모는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대비 5.4%에 달한다. 현대힘스는 자체 생산 시스템을 활용해 고품질 항만크레인의 메인 구조물을 납품할 계획이다.회사는 이번 수주를 발판으로 항만인프라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선박 블록 제조에서 쌓은 정밀제작 기술과 해양구조물 제작 경험이 항만크레인 사업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최근 미·중 안보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에서 시작된 중국산 항만크레인의 배제 움직임이 글로벌로 확산되는 분위기로 K-크레인의 미국시장에서의 수주 가능성도 커지는 등, 정부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항만크레인의 국산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HD현대삼호는 올해 초 여수광양항만공사로부터 2060억원 규모의 DTQC 관련 계약을 체결했으며, 작년 11월에는 동사의 골리앗 크레인과 컨테이너 크레인이 '세계 일류 상품'에 선정되어 K-크레인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신항 1-2단계 부두를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적용할 계획으로, 총 8기의 DTQC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오는 2040년 완공 예정인 진해신항에서 추진될 DTQC 관련 발주 사업 규모만 내년부터 2034년까지 약 2조원에 이를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그간 축적해온 선박 제조 기술력과 제작 노하우가 항만 인프라 분야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HD현대삼호에서 올해 초 수주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 제작에 대한 계약에 대해서도 협의 중으로 부산신항 2-6단계 DTQC 제작이 마무리 되면 바로 이어서 여수광양항 DTQC 메인 구조물 제작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항만 인프라 구축 트렌드에 발맞춰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현대힘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8.0% 증가한 2232억원, 영업이익은 49.0% 늘어난 215억원, 당기순이익은 63.7% 증가한 166억원을 기록해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수주를 통해 현대힘스의 신사업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실적 성장과 함께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31.64억으로 전년대비 17.9% 증가. 영업이익은 215.49억으로 48.9%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58억으로 63.6% 증가.
지난 1월 26일 코스닥에 상장한 현대힘스는 상장 준비 과정에서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한 친환경 사업과 독립형 탱크 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 개최된 행사는 이러한 성장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한편, 경기순환 산업인 조선산업의 높은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현대힘스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서 애널리스트들에게 지난 9월 신규 매입한 대불 산업 단지 내 신규공장(현대힘스 대불4공장)을 공개했으며, 이 공장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해당 공장은 상장 당시부터 밝혔던 독립형 탱크 제작 공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어 "주요 고객사인 HD현대삼호에 2020년부터 약 2만톤 가량의 LPG 탱크 상부를 납품한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LPG 및 암모니아 탱크 완제품 생산이 가능하도록 공정 범위 및 생산량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며 "새로운 사업으로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제작을 위하여 HD현대삼호와 협업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고 덧붙였다.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시장은 현재 중국의 ZPMC사가 전세계 컨테이너 항만 크레인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주요 항만국을 중심으로 스마트 항만 개발이 확대되고 있고, 미-중 안보갈등 등의 이슈로 중국산 항만 크레인을 배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항만 크레인 국산화를 육성하는 등 시장 흐름이 과거와 달라지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기회 요인이 되고 있다. HD현대삼호는 자동 항만 크레인(DTQC) 제작이 가능한 국내 유일의 회사로 최근 부산신항 2-6단계 DTQC 크레인을 수주한 바 있다.현대힘스 관계자는 "HD현대삼호는 현대힘스가 9월 인수한 대불 4공장을 임대해 현재 DTQC 크레인을 제작중이며, 현대힘스는 항만 크레인 사업을 조선업황의 경기 변동성을 줄여줄 아이템으로 주목하고 있으며, HD현대삼호와의 협력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이번 양일간 있었던 애널리스트 초청 행사는 대불지역 생산공장을 둘러보고 회사측의 기업현황과 신사업에 대한 발표에 이어 애널리스트와의 Q&A 로 진행되었다. 현대힘스는 이번 애널리스트 탐방 행사를 계기로 시장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가 수주 물량을 털어내고 고부가가치 수주로 3.8배의 영업익이 증가한 현대힘스가 조선 친환경 연료 저장 탱크의 무궁무진한 발주로 고속 성장을 이어간다.
2050년까지 이미 운행 중인 선박 외에 친환경 전환을 의무화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디젤 엔진을 LNG,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의 연료를 활용한 엔진으로 교체해야 한다. 특히 연료 저장을 위해선 대형 탱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4월18일 업계 관계자에 의하면 현대힘스는 선박용 탱크 시설을 신성장 동력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친환경 선대로의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탱크사업 진출 위해서 모색 중”이라며 “각종 친환경 연료 저장에 필요한 탱크로 무궁무진하게 발주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현대힘스는 저가 수주 물량을 털어내면서 지난해 큰 폭의 실적 성장을 이뤘다.
연결기준 연간 매출액은 18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7억 원에서 144억 원으로 3.8배로 성장했다.
2022년까지의 저가 수주 물량 해소하고, 지난해부터 액화천연가스(LNG)선과 대형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선들 인도를 시작한 영향이다. 조선업계 인력난에도 목표 납품량의 100%를 채웠다고 한다.
현대힘스는 선박의 블록(부분)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최근 국내 조선사들의 고부가가치 수주가 늘어나면서 실적도 동반 상승 중이다. 주요 고객사는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국내 대형 조선사로 지속적으로 조선 기자재를 공급 중이다.
현대힘스는 세계적인 탄소저감 노력에 따라 친환경 선박 수요가 커질 것을 대비해 탱크사업 확대를 도모한다.
세계 해운업계는 단계적으로 친환경 선박의 채택 압박을 받고 있다. 지난해 7월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 무렵까지 국제 해운 산업의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로 합의했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IMO 회원국들은 영국 런던 본부에서 열린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채택했다. IMO에 따르면 현재 해운산업 분야의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3%를 차지한다.
해운업계는 2050년까지 이미 운행 중인 선박 외에 친환경 전환을 의무화 해야 한다.
이럴 경우 디젤 엔진을 LNG,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의 연료를 활용한 엔진으로 교체 수요가 생겨날 수 있다. 특히 연료 저장을 위해선 대형 탱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현재 2조2000억 원 규모인 친환경?첨단 선박 장비 시장은 연평균 세계 시장 성장률 14%를 적용해 2027년 12조5000억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1.88억으로 전년대비 30.7% 증가. 영업이익은 144.64억으로 285.0% 증가. 당기순이익은 101.17억으로 131.7% 증가.
선박 블록 관련 조선기자재업체. 선박블럭, 배관 및 조선기자재 등의 제작을 전문으로 거래하는 B2B(기업간거래)를 주된사업으로 영위. 주요 매출처는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국내 주요 조선사임.
환경장비제조사 원하이테크를 종속회사로 보유. 원하이테크는 압력전환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을 이용한 가스분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산업용 산소 및 질소 발생기를 자체기술로 개발하여 국내외에 공급. 최대주주는 허큘리스홀딩스(53.75%), 주요주주는 HD한국조선해양(21.25%).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7.53억으로 전년대비 19.66% 증가. 영업이익은 37.57억으로 39.69% 감소. 당기순이익은 43.66억으로 7.28% 감소.
작년 1월26일 상장, 당일 292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0월31일 958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1월20일 223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235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76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83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 목표가는 1차로 20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2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