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코윈테크(282880)(대표이사 이재환 정갑용)는 글로벌 메이저 배터리기업과 100억원대 규모의 북미향 2차전지 전(前)공정 자율주행 이송 로봇(Autonomous Mobile Robots, 이하 AMR)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올 1월 2일 밝혔다.
해당 공급계약을 통해 코윈테크는 2025년 5월까지 양극 및 음극 믹싱(Mixing) 공정부터 전극 롤투롤(Roll to Roll) 공정, 스태킹 공정(Stacking)까지의 무인 자동화를 위한 AMR을 공급할 예정이다.
최근 스마트 팩토리 도입과 공장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과 동시에 공정과정에서의 무인 자동화 로봇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코윈테크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앞서 이차전지 공정 부문의 무인 이송 로봇(AGV) 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2021년부터 전극공정의 롤 로딩/언로딩 기능의 AGV를 개발해 공급해왔고 지난해에는 믹싱 공정 AGV 개발에 성공해 글로벌 배터리사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에 공급하는 AMR의 경우 라이다(Lidar) 센서를 통해 3D맵을 구현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이 접목돼 유연하게 자재 이송이 가능하며, 기존의 AGV 장점인 주행속도와 물동량, 예지보전 기능 등도 갖춰져 있어 효율성을 높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코윈테크 관계자는 “본 계약은 단순한 이송 로봇을 넘어 AI 기반의 최적화 된 경로 구현과 실시간 장애물을 회피해 이송하는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한 이후 최초 양산 및 공급하는 계약으로 의미가 크다”며 “고객사의 공정별 맞춤형 로봇 제작뿐만 아니라 AMR 양산 플랫폼화를 통해 대량 생산체제를 갖춰 향후 가격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차전지 분야의 제조 공정과 운송물에 따른 중량과 정밀이송, 주행속도 등 다양한 Spec의 이송 로봇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는 만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으로 AMR 로봇 사업 영역을 확장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써 키워나가겠다”고 전했다.
이차전지 자동화시스템 선도기업 코윈테크가 국내 기업에 전고체 배터리 라인 공정 장비와 자동화 장비 납품을 시작했다고 작년 11월4일 밝혔다.코윈테크는 자체 기술력을 활용해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을 추진한 결과 전고체 배터리 라인의 활성화 공정 장비와 자동화 장비 제작에 성공했다. 지난 2분기 파일럿 라인 수주 이후 지난달 31일부터 국내 지역에 본격 공급을 시작했다.코윈테크가 공급하는 장비는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의 물류 자동화 장비와 화성 공정의 폴딩(Folding), 검사(Inspection), IR/OCV 등의 공정 장비를 턴키(Turn-key) 공급하게 된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기존 가연성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지다.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누수 위험이 없고 화재 위험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차전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단위당 에너지 밀도도 높아 국내 배터리 업계에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전고체 배터리의 화학적 특성에 맞춰 장비가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는 만큼 코윈테크는 전고체 배터리 공정에 새로 추가되는 소재와 장비에 맞는 물류 자동화 시스템 공급에 주력할 계획이다.코윈테크 관계자는 "이번 장비 공급을 통해 연내 설치를 마친 후 내년 상반기까지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라며, "파일럿 라인 납품이지만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대한 미래수요가 폭발적인만큼 초기 라인 선점을 통해 향후 공급처 확대 및 양산 라인 납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이어 "물류 자동화 외에도 공정 장비 사업부문으로 이차전지와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갖춘 공정장비를 개발에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향후 반도체 분야로도 장비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876.9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8.02% 증가. 영업이익은 80.04억으로 65.17% 증가. 당기순이익은 39.86억으로 33.64% 감소.
연결기준 3분기 누적매출액은 2105.5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4.50% 감소. 영업이익은 167.23억으로 32.33% 감소. 당기순이익은 159.84억으로 8.56% 증가.
이차전지 자동화시스템 전문기업 '코윈테크'가 국내업체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 장비 납품을 준비 중이다.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차세대 이차전지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전환해 안전성을 높이고 에너지밀도를 높인 차세대 배터리다. 소재가 달라진만큼 기존과 다른 제조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기에 코윈테크는 이에 맞춘 전고체 전지 라인의 활성화 공정 장비와 자동화 장비 제작을 완료했다.
작년 9월19일 코윈테크 관계자는 "현재 국내 제작을 완료한 상태로, 4분기 납품 예정으로 준비 중이다. 현재는 파일럿 수준으로 향후 수주 확대를 기대한다"며 "전고체 라인의 경우, 배터리 상용화를 위해 새로운 소재 추가 및 변경으로 각 소재와 공정에 적합한 사양의 설비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자동화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화가 어려운 공간에는 AGV와 AMR도 도입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전고체 배터리가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이차전지 기업들은 선제적 투자를 이어가며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힘을 쏟는 중이다. 본격적인 시장 개화를 앞두고 있기에 관련 장비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윈테크는 전극공정 신규 장비 상용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극 셔틀 랙 타입(Shuttle Rack Type) 자동화 장비와 전극공정 탄소나노튜브(CNT) 검사장비 등의 신제품을 통해 전(前)공정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코윈테크 관계자는 "전극 공정에서는 최근 투자비 절감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차세대 공정에서도 투자비를 낮추려는 분위기이기 원가 절감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자동화 타입의 '셔틀 랩'을 개발했다. 연말 기준 상용화 전 단계까지 준비를 하고 있다. 수주가 되면 내년도에 바로 제작해 납품할 계획이다"며 "공정 장비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엑스레이 검사 장비 사업화도 추진 중이다"고 밝혔다.
현재 개발 중인 'CNT 엑스레이 기반 배터리 이물 검사 장비'는 배터리 검사에 쓰이는 엑스레이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다. 필라멘트를 CNT 섬유로 대체해 빠른 속도로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코윈테크는 관련장비를 내년 개발 완료 및 상용화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코윈테크는 2차전지 공정의 핵심인 전(前)공정(믹싱·전극·조립)에 특화된 자동화 로봇 '자율이동로봇(AMR)·무인운반차량(AGV)'을 개발해 경쟁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으로 납품 규모를 확대하는 중이다.
특히 최근 차세대 물류 로봇 형태의 AGV와 AMR 수요가 커지면서 관련 시장규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코윈테크는 '전극공정 AGV'를 시작으로 지난해 개발 완료한 '믹싱공정 AGV·조립공정 AMR' 신규 자동화 장비를 통해 무인 자동화 장비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관련 장비 공급을 본격화한다.
코윈테크 관계자는 "믹싱·전극·조립 공정에 국내 배터리사의 미국 공장으로 AGV를 납품하고 있다. 아직 납품을 하지 않은 다른 공장들의 추가 수주도 예상하고 있다"며 "최근 전극 공정AGV가 AMR로 전환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와 같은 트렌드에 함께 맞춰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차전지 자동화시스템 전문기업 코윈테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76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소각을 결정했다고 작년 7월12일 공시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에 소각하는 전환사채는 지난해 9월27일 회사가 콜옵션행사를 통해 취득한 물량이다.지난 2022년 7월에 발행한 총 330억원 규모 제3회차 전환사채 중 23%에 해당한다. 코윈테크 관계자는 "주주가치 제고,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전환사채 소각을 결정했다"며 "이를 통해 잠재주식 물량의 해소와 전환사채 관련 이슈를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전방 시장의 성장 둔화와 글로벌 배터리사들의 투자 위축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앞으로 다양한 주주친화정책을 펼칠 예정"이라며 "차세대 전고체 라인 장비 등 신규 장비 개발로 사업을 확장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유진투자증권은 작년 5월20일 코윈테크(282880)에 대해 차세대 전고체 라인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다만 목표주가는 올해 예상 주당순이익(EPS) 1505원에 국내 유사업체 평균 주가수익비율(PER) 20.0 배를 목표 멀티플(Target Multiple)로 적용해 기존 3만6000원에서 7.7% 내린 3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윈테크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22.9% 줄어든 534억원, 적자 전환한 영업손실 5억원으로 시장 기대치 대비 크게 하회했다. 매출액 감소는 본사의 이차전지 자동화 설비 매출이 44.9% 증가했음에도 자회사 탑머티리얼(360070)의 매출이 프로젝트 이연으로 64.3%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 특히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하게 된 것은 자회사 탑머티리얼 소재사업부문에서 양극재 양산기술개발 및 고객사 샘플 대응 등 초기 투자비 관련 지출이 반영됐기 때문이다.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윈테크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1058억원, 83억원으로 전망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10.5% 늘어난 수치다.이에 대해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며 "올해 3월말 기준 3조8709억원 규모의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 북미향 턴키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또한 "지난 4월 차세대 전고체 전지 라인의 활성화 공정 장비와 자동화 장비를 턴키로 수주함에 따라 추가 수주가 확대될 것"이라며 "아울러 신규 자동화 로봇 제품인 AGV(Automated Guided Vehicle)·AMR(Autonomous Mobile Robot) 장비 등의 신규 수주가 기대된다"고 진단했다.마지막으로 "소재사업부문은 LFP 양극개발 성공에 따른 시설투자를 통해 본격적인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조언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59.58억으로 전년대비 67.01% 증가. 영업이익은 228.17억으로 54.36% 증가. 당기순이익은 224.30억으로 193.82% 증가.
공정 자동화시스템 업체. 2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석유화학, 식품, 제약, 자동차 등의 다양한 산업의 자동화시스템을 제조·공급. 특히, 2차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전체 공정 Full 자동화시스템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축적된 기술력과 레퍼런스를 통해 글로벌 2차전지 제조사들의 생산 공장(국내, 북미, 유럽, 중국, 동남아 등) 전역으로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납품중. 최대주주는 이재환 외(21.5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1.55억으로 전년대비 89.14% 증가. 영업이익은 147.82억으로 123.43% 증가. 당기순이익은 76.34억으로 3.84% 증가.
작년 12월10일 11244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368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42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568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72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