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개미신사
2025/01/15 11:32 (114.200.***.187)
댓글 0개 조회 295 추천 0 반대 0



케이프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있다. 올 1월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1분 현재 9.89% 상승 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케이프가 대형 선박 엔진의 핵심 부품인 실린더라이너 제조를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금융투자까지 영역을 확대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수십 년간 꾸준히 성장하며 대형 선박 엔진 부품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신조 실린더라이너와 교체용 실린더라이너를 생산해 엔진 제조업체와 엔진 기술 보유 업체에 공급하며,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신조 실린더라이너는 새롭게 제작된 엔진에 장착되는 실린더라이너이다. 실린더라이너 자체는 엔진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 벽면을 보호하고, 마찰을 줄이며, 기밀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케이프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투자를 하고 있다. 친환경 선박 부품 개발, 스마트 공장 구축 등을 통해 미래 해운 산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금융투자 사업 부문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투자 상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케이프(064820)는 대여금채권을 통한 신주 취득을 통해 종속회사 케이프인베스트먼트 주식 4만 5693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작년 12월12일 밝혔다. 취득금액은 819억 4413만원 규모로 자기자본 대비 32.26%에 해당한다.  

취득 후 소유주식수는 10만 8148주, 지분비율은 100%다. 취득예정일자는 오는 16일이다. 회사 측은 취득 목적에 대해 “자기자본 확충을 통한 경영안정화”라고 밝혔다. 



메리츠증권은 작년 11월28일 케이프(064820)에 대해 견조한 신조용 실린더라이너 성장세를 주목해야 한다며 투자 의견 '매수' 및 적정주가 1만1000원을 유지했다.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케이프의 올해 연간 별도 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0.1% 늘어난 746억원으로 전년과 동일할 전망이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간 추정 판매대수 1601~1800개를 기록하며 정점을 보였던 AS용 실린더라이너 수요는 올해 중 기저효과가 불가피했다. 신조용 예상 매출액은 올해 지난해 대비 34.6% 증가한 463억원으로 같은 기간 AS용 매출액이 31.2% 감소한 262억원을 기록하는 영향을 만회한다. 지난해 대비 영업이익은 15.7% 줄어든 175억원, 영업이익률은 4.4%p 감소한 23.5%를 예상했다. 신조용 실린더라이너 대비 AS용 실린더라이너의 판가가 더 높았기 때문에 수익성 역시 기저효과를 맞이한 올해라는 평가다배기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케이프의 내년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전년 대비 각각 17.0% 늘어난 873억원, 28.7% 성장한 226억원으로 내다봤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2.3%p 상승한 25.9%다. 이에 대해 "신조용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1% 상승한 560억원을 기록하며 전사 매출액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같은 기간 AS 매출액은 10.9% 늘어난 289억원으로 추정한다. 지난해의 381억원 수준까지 회복하기 위해서는 시차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배 연구원은 "지난해 지급한 주당 배당 300원의 재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올해 별도 기준 순이익의 전년 대비 19.9% 감소를 예상하기때문"이라면서도 "긍정적인 점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발행주식수의 9.7% 자기주식 취득을 진행하는 등 현금배당 외에도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추진해왔다는 사실"이라고 조언했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257.7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6.83% 증가. 영업이익은 101.00억으로 34.14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64.54억으로 44.61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연결기준 3분기 누적매출액은 3851.8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2.76% 감소. 영업이익은 309.81억으로 4.32% 감소. 당기순이익은 186.26억으로 23.79% 증가. 



케이프는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목적으로 보통주 300,000주(14.43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고 작년 9월30일 공시했다. 취득예상기간은 2024.10.01 ~ 2024.12.31이다.



대신증권이 작년 9월13일 실린더 라이너 제조사인 케이프가 선박용 친환경엔진 수요 확대의 수혜 기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린더 라이너는 선박 엔진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감싸는 통로 역할을 하는 친환경 엔진 부품이다. 케이프의 실린더 라이너 시장 점유율은 30% 수준으로 알려졌다.

박장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기존의 선박용 디젤 엔진이 LNG D/F 엔진, 메탄올 D/F 엔진 등의 친환경 엔진으로 바뀌면서 엔진 부품인 실린더 라이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판매량 증가와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케이프는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2021년 49억원, 2022년 97억원, 2023년 208억원으로 신조선가 상승과 함께 영업이익률이 3년째 개선 추세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케이프가 종속 자회사로 보유한 케이프투자증권은 지난해 20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2022년(48억원 적자)을 제외하고 꾸준히 영업이익을 기록 중"이라며 "자기자본 대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비중이 9.7%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부동산 위험도가 낮다"고 평가했다.



메리츠증권에서 작년 4월23일 케이프(064820)에 대해 "업황 개선의 채찍효과 수혜"라며 투자의견을 'BUY'로 제시하였고, 아울러 목표주가로는 10,000원을 내놓았다. 메리츠증권 배기연 애널리스트가 동종목에 대하여 이번에 제시한 'BUY'의견은 메리츠증권에서는 올해들어 처음 내놓는 매매의견이며 그리고 최근 분기내 발표된 전체 증권사 리포트의 컨센서스와 비교를 해볼 경우에 오늘 발표된 투자의견은 전체의견에 수렴하고 있어, 이번 의견은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감이 객관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메리츠증권에서 케이프(064820)에 대해 "고수익성 입증. 2024~25년 영업이익률 +30.4~32.1%. 2024년, 2025년 영업이익 19.2%, 16.3%씩 고성장. 신조 수요 증가 사이클, AS 수요 견조. 실린더라이너 시장 내 독과점 지위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 Q(물량) +15.0%, P(가격) +4.6%를 예상. 원재료가격은 하향 안정화 가정. 2023년 주주환원율 68.1%, 배당수익률 5.7%. 향후 주주환원의 점진적 강화를 기대. 2025년 케이프(연결) 적정가치는 3,111억원으로 판단. 적정주가 10,000원."라고 분석했다.  또한 메리츠증권에서 "조선소→선박엔진→ 실린더라이너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에서 업황개선의 채찍 효과를 기대. 2024년 케이프(본사) 매출액은 816억원(+9.5% YoY), 영업이익은 248억원(+19.2% YoY)이며 영업이익률은 +30.4%로 추정. 2025년은 매출액 899억원(+10.1% YoY), 영업이익 289억원(+16.3% YoY), 영업이익률 +32.1%로 실적의 추가 개선을 예상. 신조용 실린더라이너 판매량을 2024년 1,807대(+2.6% YoY), 2025년 2,133대(+18.0% YoY)로 전망하며 전방산업인 선박엔진 및 신조선 시장을 후행하는 물량 증가율을 기대."라고 밝혔다. 

오늘 메리츠증권에서 발표된 'BUY'의견 및 목표주가 10,000원은 전체의견에 수렴하면서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감이 비교적 객관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풀이되며 목표가평균과 대비해서 미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참고로 최근 증권사 매매의견 중에서 제시한 바 있다.



케이프는 보통주 1주당 3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작년 3월5일 공시했다.시가배당율은 6.9%이며 배당금총액은 84억5239만원이다.배당금지급 예정일자는 4월 26일이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906.60억으로 전년대비 3.12% 감소. 영업이익은 409.54억으로 1636.59% 증가. 당기순이익은 271.01억으로 5.3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대형선박엔진의 핵심 부품인 실린더라이너 생산 업체. 주요 매출처는 엔진제조업체 및 선주사들인 HSD엔진, 현대중공업그룹, WARTSILA 등. 케이프인베스트먼트, 케이프투자증권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템퍼스인베스트먼트 외(33.63%), 주요주주는 백수영(7.11%).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97.00억으로 전년대비 42.56% 증가. 영업이익은 23.58억으로 95.02% 감소. 당기순이익은 5.39억 적자로 358.18억에서 적자전환.


2018년 10월30일 160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1월26일 7190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2023년 4월27일 3295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작년 5월14일 65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9월9일 4395원에서 저점을 찍은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707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736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81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89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미신사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