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개미신사
2025/04/14 21:21 (114.200.***.187)
댓글 0개 조회 248 추천 0 반대 0



우리 증시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요동치고 있다. 상호 관세가 시작된 4월9일 코스피지수는 1년 5개월 만에 2300선 밑으로 떨어졌다. 곧바로 다음날 관세 유예가 발표되자 매수가 급증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됐다.

극심해진 변동성이 투자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자연스레 ‘관세 방어주’가 주목되는 시기다. 그리고 칩스앤미디어가 알려지지 않은 ‘알짜’ 방어주로 최근 부상하고 있다.

칩스앤미디어는 2015년 국내 최초로 상장한 반도체IP(Intellectual Property)사로 전문투자가들 사이에선 잘 알려져 있다. 반도체IP는 쉽게 말해 ‘반도체 회로 설계 도면’을 미리 만들어 놓고 팔거나 빌려주는 사업이다.

반도체 설계는 건물을 짓는 것과 비슷하다. 집을 지을 때 일일이 전기 배선도와 수도관, 방 구조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는 검증된 설계 도면을 가져다 쓰는 게 효율적이고, 또 안전하다. 이 설계 도면을 반도체에선 IP라 부른다.

가령 스마트폰의 두뇌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칩은 수십에서 수백개의 반도체IP로 구성된다. AP는 크게 기능별로 △CPU(연산)와 △GPU(그래픽) △VPU(영상처리) △통신 △메모리(D램 등) △보안 등의 IP가 있는데 칩스앤미디어는 이중 VPU에 특화한 IP를 만들어 왔다.

칩스앤미디어가 ‘관세’ 무풍지대인 이유가 이 같은 사업 모델에 있다. 글로벌 교역은 재화나 서비스를 국경을 넘어 전달하는 행위다. 반도체IP는 언뜻 보기엔 부품(재화)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디지털 설계파일이다. 대부분 라이선스(사용권) 계약을 맺고 클라우드를 통해 전달하기 때문에 실물 수출이 없다.

그리고 관세는 물건(재화)이 국경을 넘을 때 붙는 세금이다. 반도체IP는 사용권을 파는 형태라 소프트웨어나 지적재산권 거래로 분류되고, 여기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칩스앤미디어가 ‘숨겨진’ 관세 방어주로 평가받는 이유는 매출의 90%가 해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매출 270억원 중 45.9%가 중국에서 나왔고, 이어 미국 34.8%, 한국 8.5%, 일본 4.8%, 대만 4% 순이다. △중국 자율주행기업 호라이즌로보틱스와 세미드라이브 △미국 NXP‧퀄컴‧구글 등 내로라하는 반도체 밸류체인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오래전부터 수출기업으로 인식돼 관세에 취약할 것이란 선입견을 가질 수 있는데 상황은 ‘반대’다. 알려지지 않은 ‘알짜’ 관세방어주라는 것이 매력 포인트다.

국내외 기업들에 대한 실적 전망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 따라 출렁이고 있다. 반면 칩스앤미디어는 앞선 이유로 올해도 높은 수익성을 실현할 전망이다. 지난해 순이익이 100억원으로 순이익률이 무려 37%에 달한다. 설계도를 파는 사업이라 과거부터 수익성이 우수했다. 주요 사업비용이 연구개발(R&D)에 필요한 인건비 정도다.

중장기 전망도 밝다. 반도체IP 사업은 업력이 길수록 수익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수익구조가 IP를 팔 때 받는 라이선스 요금(Fee)과 고객사가 IP를 사용해 반도체를 만들 때 받는 로열티로 나뉜다. 라이선스와 로열티 이중 매출구조다.

업력이 길수록 로열티 수익이 누적돼 수익성이 개선된다. 통상 판매한 반도체IP에서 로열티 수익이 발생하는데 3.5~5년 정도가 소요된다. 칩스앤미디어는 2003년 설립돼 올해로 업력이 22년에 이른다. 지난해까지 글로벌 150개 기업, 1796백만개의 칩에 칩스앤미디어 IP가 적용됐다. 이에 매년 발생하는 로열티 수익이 100억원이 넘는다.

특히 칩스앤미디어는 △생성형AI와 △자율주행차 등에 기인한 반도체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첨단산업은 AI연산 전용 두뇌인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요구하는데, 칩스앤미디어는 NPU용 IP를 2023년 9월부터 주요 고객사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른 로열티가 누적되면 또 다른 중기적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



반도체 IP 전문 기업 칩스앤미디어가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3월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3.58% 올라 1만 822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상 전용 NPU IP를 앞세워 국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면서 실적호전 기대감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칩스앤미디어는 최근 국내외 주요 고객사들과 NPU IP 공급 논의를 진행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칩스앤미디어는 세계 최초로 비디오 코덱 IP 개발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는 영상 처리 기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큰 파급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비디오 코덱 IP는 비디오 압축 및 해제(코딩 및 디코딩)를 수행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블록의 설계 자산을 의미한다.

주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칩에 구현되며, 비디오 스트리밍, 방송, 감시 카메라, 스마트폰, 자동차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칩스앤미디어가 개발한 영상 전용 NPU IP는 AI 기반 영상 처리 기술의 핵심 요소로, 고화질 영상 분석, 영상 인식, 영상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최초 비디오 코덱 IP 상용화와 영상 전용 NPU IP 공급을 통해 글로벌 영상 IP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증권은 2월13일 칩스앤미디어(094360)에 대해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과 신경망처리장치(NPU) 시장 성장의 수혜를 받고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3만원을 제시했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칩스앤미디어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5% 늘어난 91억원, 26.9% 성장한 29억원을 기록했다. 신규 라이선스 매출 발생과 중국향 AI 반도체 매출이 약 20억원 가량 반영되며 기대 이상의 실적을 보였다는 분석이다. 

박준영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중국 내 설립한 조인트벤처(JV)를 통해 활발하게 라이선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고객사들은 중화권 데이터센터향으로 칩을 공급할 예정"이라며 "최근 '딥시크'를 비롯한 중화권 거대언어모델(LLM) 모델의 발전이 가속화되며 중국 AI 반도체향으로 IP를 납품하는 동사가 지속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미중간 AI 경쟁이 더욱 심화되며 중국은 자체적으로 AI칩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것"이라며 "이러한 지정학적 이슈가 동사에게는 우호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중국이 개발한 '딥시크 R1(DeepSeek R1)'은 '챗GPT(ChatGPT) o1'에 필적하는 성능을 보여주며 중국산 LLM 모델의 저력을 보여줬다. '딥시크' 이외에도 중화권 빅테크를 중심으로 수많은 LLM 모델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델들에서 중국의 자체 칩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또한 "동사는 글로벌 팹리스 기업 퀄컴(Qualcomm)의 AI PC용 칩셋 'X-Elite'향으로 영상 코덱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으며, 해당 칩은 확장현실(XR) 디바이스향으로도 채용이 될것으로 기대된다"며 "동사는 향후 중화권 AI칩 시장의 성장과 온디바이스 AI의 성장 수혜로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작년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0.8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2.9% 증가. 영업이익은 29.18억으로 25.9% 증가. 당기순이익은 62.87억으로 213.57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0.75억으로 전년대비 2.0% 감소. 영업이익은 52.81억으로 32.0% 감소. 당기순이익은 100.09억으로 266.98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칩스앤미디어가 차세대 비디오 코덱 표준인 VVC(Versatile Video Coding) 기술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고 관련 로열티 수익을 받기 시작했다. 이번 특허는 칩스앤미디어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으로 출원한 것으로 양사의 기술 협력이 결실을 맺은 성과다. 

VVC는 기존 HEVC(H.265) 코덱의 후속 기술로, HEVC보다 2배 이상의 압축 효율을 목표로 개발된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이다. 

VVC는 ▲16K 초고해상도 ▲HDR 지원(10/16비트 색심도 및 최대 1만니트 밝기) ▲0~120 FPS 프레임 속도 등의 기능을 갖춰 VR과 360도 영상 콘텐츠 시장에 최적화된 기술로 평가받는다. VR시장의 성장과 디스플레이 발달로 시장에서 빠른 전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번 특허 등록으로 VVC 기술을 활용하는 글로벌 주요 전자기기 제조업체(세트메이커)들은 해당 표준을 적용하는 대가로 로열티를 지급해야 한다. 지급된 로열티는 VVC 표준 특허를 보유한 기업들 간 공정하게 분배되며, 칩스앤미디어 역시 이에 따른 수익을 확보하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ETRI와의 공동 연구 덕분에 이번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이번 로열티 수익 창출을 통해 기존 반도체 IP 비즈니스 외에도 새로운 비디오 표준 기반의 수익 모델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VVC 표준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면서 관련 특허를 보유한 기업들의 로열티 수익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초고속 네트워크와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 차세대 비디오 코덱 기술은 더욱 중요한 산업적 자산이 되고 있다. 



칩스앤미디어(094360)가 창사 이래 단일계약으로 가장 큰 IP(Intellectual Property·설계자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글로벌 비디오 IP 기술 선도 기업 칩스앤미디어가 중국 인공지능 시스템온칩(AI SoC) 반도체 개발 기업과 500만 달러 규모의 IP 라이선스를 체결했다고 작년 9월30일 공식 발표했다. 계약 내용은 비디오 IP와 신경망처리장치(NPU) IP가 동시에 포함된 라이선스 계약이다. 수주계약만 약 500만 달러로 2023년 매출액 대비 24%에 해당된다.칩스앤미디어 측은 △단일 계약 규모 최대치 △NPU IP 라이선스 첫 계약 △글로벌 판매확대 토대 마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전했다.실제로 이번 계약은 칩스앤미디어의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특히 NPU IP는 영상 처리에 특화된 인공지능 연산을 지원하는 기술로, 데이터 센터, AI-PC, 로봇 등에서 고성능 영상 처리를 위한 AI SoC 개발에 필수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특히 중국은 미중 반도체 갈등 속에서 자국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힘쓰고 있으며, AI 분야에 집중한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통해 칩스앤미디어는 중국 AI SoC 시장에서 더욱 강화된 입지를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김상현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당사의 새로운 기술인 영상 특화 인공지능 NPU IP의 첫 번째 라이선스 계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에서칩스앤미디어의 IP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협력 기회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한편, 칩스앤미디어는 2003년 설립된 반도체 IP 전문기업으로 영상처리를 담당하는 비디오 IP 사업에 주력한다. 주요 매출은 IP 공급시점에 발생하는 라이선스 매출과 고객사가 이를 활용해 만든 반도체가 생산·판매될 때 받는 로열티 매출로 구분된다. 세계 최고 수준의 비디오 IP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150여 개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90% 이상의 수출비중, 안정적인 라이선스 매출기반 로열티 매출로 30% 대의 높은 수익성을 달성하는 등 글로벌 비디오 IP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27억으로저년대비 14.7% 증가. 영업이익은 77.69억으로 6.4% 증가. 당기순이익은 266.98억 적자로 99.63억에서 적자전환. 


시스템 반도체 설계 자산(IP) 개발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반도체 설계자산 전문업체. 주력사업인 비디오 IP사업은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업체에게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함. 주요 상표로 BODA, CODA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한투반도체투자(27.48%), 주요주주는 텔레칩스(7.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0.93억으로 전년대비 20.59% 증가. 영업이익은 73.03억으로 40.47% 증가. 당기순이익은 99.63억으로 58.95% 증가. 


2014년 4월2일 57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작년 1월4일 379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12월10일 1125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1일 22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351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과 고점을 옾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 집니다.


손절점은 160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6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84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0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미신사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