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 유진테크의 주주 '폴라캐피탈(Polar Capital LLP)'이 유진테크의 지분 약 24만주를 추가 매수했다.
폴라캐피탈은 7월16일 공시에서 총 24만436주(1.05%)를 추가로 매입하고 지분을 139만1514주에서 163만1950주로 늘렸다고 밝혔다.
지분율은 6.07%에서 7.12%로 1.05%포인트 증가했다. 폴라캐피탈은 단순 투자 목적으로 올해 5월 28일부터 지난 1일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지분을 매입했다. 보고의무는 지난 1일 3만1075주를 매입하면서 발생됐다.
유진테크의 2024년 연결 기준 재무제표에 따르면 자산총계는 5395억원, 부채총계 1038억원, 자본총계 4357억원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381억원, 영업이익 612억원, 당기순이익 654억원을 기록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831.54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1.56% 증가. 영업이익은 92.03억으로 131.76% 증가. 당기순이익은 81.23억으로 26.25% 증가.
한국투자증권이 반도체 장비 생산업체 유진테크(42,850원 ▲ 2,050 5.02%)를 전공정 커버리지 중 최선호주로 꼽았다. 그러면서 목표 주가를 기존 6만3000원에서 7만2000원으로 올리고, 투자 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2월24일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유진테크는 디램 전환 투자 수혜가 확대되는 가운데 유지너스의 흑자 전환과 머티리얼 자회사인 EGTM의 프리커서 사업 진출로 탑라인, 바텀라인 모두 상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회사의 주가는 역사적 밴드 하단인 주가이익비율(PER) 12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낮은 상태다. 지난해 4분기 유진테크의 매출액은 1145억원, 영업이익은 316억원을 기록했다.
채 연구원은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38% 상회했다”며 “2017년 미국 액시트론으로부터 인수한 미국 자회사 유지너스의 흑자 전환이 영업이익 증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메탈 원자층증착(ALD) 장비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유지너스는 인수 이후 계속 적자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연간으로도 손익분기점(BEP) 달성에 성공했다.
채 연구원은 “메탈 ALD는 고객사 선단 공정 전환에 따라 적용되는 레이어가 증가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유지너스의 매출과 이익은 지속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쟁사 대비 동사가 상대적으로 호실적을 지속하는 이유는 디램 3사를 모두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어 테크 전환의 수혜가 크기 때문이다. 삼성만 해도 화성 15, 16, 17라인, 평택 P1, P2, P3까지 6개 팹에서 모두 디램 1a~1c로의 전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채 연구원은 “선단 디램으로 전환 시 동사 장비가 적용되는 레이어가 증가함에 따라 고객사 라인 내 동사 장비 점유율이 지속 증가한다”며 “디램 설비투자(CAPEX) 증가에 따른 수혜가 유진테크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80.68억으로 전년대비 22.2% 증가. 영업이익은 611.77억으로 141.7% 증가. 당기순이익은 654.40억으로 157.6% 증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5.33억으로 전년대비 10.98% 감소. 영업이익은 243.26억으로 54.65% 감소. 당기순이익은 253.97억으로 40.38% 감소.
반도체 전공정장비업체. 전공정의 웨이퍼 처리공정 중 박막형성재료를 화학반응에 의해 반도체기판(wafer)위에 박막을 형성하는 장비를 제공중. 주력제품으로는 Single Thermal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인 BlueJay™, Plasma Treatment System인 Albatross™ 등이 있음. 반도체 소재 부문에서는 국내 반도체 소자업체에 DRAM 캐패시터용 고유전율 물질 박막 증착에 필요한 전구체 판매중. 최대주주는 엄평용 외(36.33%).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06.33억으로 전년대비 4.30%감소. 영업이익은 536.41억으로 27.43% 감소. 당40.38% 감소. 당기순이익은 425.95억으로 32.60% 감소.
2008년 10월28일 415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5월28일 60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2월20일 303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9일 494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5월26일 3085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430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448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 목표가는 1차로 49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542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