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Zymfentra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
rhwlaud
2024/05/21 23:22 (175.215.***.67)
댓글 4개 조회 7,283 추천 152 반대 11




우선 전 의사가 아닙니다.그냥 시간날 때 여러 논문,저널,유투브,환자 후기를 바탕으로 망고 제 생각을 적은 겁니다.너무 믿지는 마시고 참고만 하세요.
1).10년이면 강산도 변하는데..승인된지 26년된 infliximab이 아직도 ibd에 효과적인 치료제 일까?
우선 첨부1(uc),2(uc&cd)를 참고해 보시면 여전히 infliximab은 uc(궤양성 대장염),cd(크론병)에 효과적임
Jak억제제인 upadacinib(rinvoq)이 uc에서 유도기 효과,유지기에서도 더 우수
2)infliximab vs adalimumab
대다수 의사분들이 비슷하다고 평가하나
Infliximab 장점:uc 유도기에서는 더 빠른 효과,누공성 cd에 적용증(유일)을 가짐
Adalimumab 장점:infliximab에 비해 항체형성이 잘 안됨 유지기에 우수(infliximab의 경우 면역억제제와 같이 처방),피하주사로 인한 편리함
환자분들에게 Adalimumab을 infliximab 순한 맛이라 표현하시는 의사분들도 계심
3)guideline
첨부3 참고
Aga 미국, Ecco 유럽,
Aocc and apage 아시아 태평양
Ifx:infliximab, ada:Adalimumab
4)rinvoq 관련
첨부4 참고
끝판왕 느낌이나 1차, 2차 치료제가 아님.
Jak억제제에 대해선 안전성 우려가 있음(일각에서는 과대망상이라는 표현도 있지만fda에서 심장관련,암,혈전,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경고문을 붙이게 함)
Cigna,uhc 모두 anti tnf 실패시 사용 가능
(Aetna는 미쿡인이 아니라 확인 못했지만 비슷할꺼로 추측됨)
Ps> 바이오의약품은 사람마다 편차가 큰거 같음.사람마다 잘 듣는 약이 따로 있는거 같기도 하고,항체형성기간,부작용 역시 천지차이임.그리고 논문마다 조금씩 수치 차이가 있음.그냥 경향성 정도로만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zymfentra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rhwlaud
님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 이전글
- 현재 셀트리온
- 이전글
- 금일 공매도 0주.
- 다음글
- Global bio 주식(종가)
- 다음글
- 실적 모멘텀 기대되는 바이오 톱픽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