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동방메디컬(KOSDAQ 종목코드:240550)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4월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2시 22분 현재 동방메디컬 주가는 전일대비 10.52% 상승한 1만1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2337억원 수준이다.
이날 동방메디컬(240550)이 중국 최대 규모의 온라인 의료미용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신양그룹과 합작하여 히알루론산(HA) 필러 공장을 설립한 뒤 제품 생산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내 필러 시장 규모는 약 8조 원으로 추정되며, 신양그룹과의 협력으로 동방메디컬은 추후 중국 시장에서 유통 등에서 우위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의 신양그룹(新氧集团, So-Young International Inc.)은 온라인 의료·미용 서비스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업으로, 2013년 설립 이후 성형 및 미용 시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 연결 및 시술 예약 등의 서비스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며, 의료·미용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이끌고 있다. 2019년에는 중국 온라인 의료·미용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바 있다.
신양그룹은 현재 중국 온라인 의료미용 서비스 시장의 약 33%를 차지하는 성형 정보 플랫폼 '신양커지(新氧科技)'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판 강남언니 라고 불리기도 한다.
신양그룹은 필러 제조 및 의료기기 개발 사업까지 확장하여 종합적인 의료·미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신양커지는 현재 동방메디컬의 엘라스티 필러의 중국 총판사 역할을 하고 있다.
동방메디컬이 중국 절강성 자싱의 신양그룹과 협력해 구축한 중국 현지 필러 공장(월 10만 관 규모)은 중국 위생허가(NMPA) 취득 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동방메디컬은 이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지 병원 및 미용클리닉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중국 필러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8조 원(400억 위안) 규모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중국 필러 시장은 글로벌 기업인 앨러간(쥬비덤), 레스틸렌(갈더마), LG화학(이브아르)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국 내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방메디컬은 중국 현지 생산을 기반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지 유통 파트너사인 신양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본격적인 시장 침투를 준비 중이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한한령 해제 시 중국 내 K-뷰티 및 한국 미용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크며, 동방메디컬 역시 큰 수혜를 받을 전망”이라고 언급했다.
최근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한한령 해제 가능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2016년 이후 중국 정부가 한류 콘텐츠와 한국 제품의 광고·유통을 제한해왔지만, 최근 일부 한국 화장품 및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가 다시 중국 내에서 주목받으면서 한국 브랜드의 중국 시장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동방메디컬 관계자는 “중국 필러 시장의 성장 속도를 감안할 때, 중국 현지 생산기지를 통한 진출은 필수적인 전략”이라며 “향후 중국 위생허가 절차를 완료한 뒤 안정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한령 해제 시 중국 내 한국산 미용 의료기기 및 필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며 “동방메디컬과 같은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방메디컬이 글로벌 2위 성형시장인 브라질에서 PHD 파마(phama)와의 합작사를 설립하며 필러 제품의 현지 생산에 나선다. 현재 동방메디컬은 ANVISA(브라질의 기술 표준 수립을 담당하는 국립품질규격관리원(INMETRO)의 인증을 기다리는 중이다. 빠르면 이달 내 늦으면 7월 중으로 인증여부가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4월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방메디컬은 브라질 시장의 잠재력을 활용하고 지역 내 성형 산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PHD 파마와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고, 합작사를 설립해 필러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지 시장의 요구에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브라질 미용의학협회(ABME)에 따르면 100억헤알(약 2조6400억원·2020년 기준) 규모의 관련 시장은 연간 20% 내외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억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하고 있고 성형수술·시술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브라질에서는 미국(7461명)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6200명의 성형전문의가 활동하고 있다. 브라질 의대생들이 성형외과 전공을 선호하고 있어 앞으로도 성형전문의 공급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성형 수술·시술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필러 등 수입 의료기기 수입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 경제부 수출입 통계기관 코멕스스탯(Comexstat)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8월까지의 총 필러 수입액은 5523만7945달러(약 750억원)로 작년 전체 수입액의 96.48%를 넘어섰다.
동방메디컬의 이번 합작사는 브라질 내 필러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 현지 생산을 통해 비용 절감은 물론, 유연한 시장 대응이 가능하여, ANVISA 인증을 통한 높은 품질 기준 충족과 함께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이번 ANVISA 인증에 따라 동방메디컬이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업체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포인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지난해 브라질 PHD사와 5년간 1750만달러의 선 계약을 체결한 만큼 이달 내 브라질 ANVISA 허가가 완료될 시 파트너사인 PHD 파마를 통해 현지에서 즉시판매해 올해부터 매출에 반영이 될것으로 보여진다.
장기적으로는 다른 중남미 시장으로의 진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략적 확장은 동방메디컬의 전반적인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SK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동방메디컬의 2024년 잠정실적은 1051억원, 영업이익 150억원, 순이익 31억원을 기록했다”며 “올해 실적을 매출액 1300억원, 영업이익 280억원, 순이익 200억원으로 가이드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1.14억으로 전년대비 15.67% 증가. 영업이익은 150..46억으로 8.68% 감소. 당기순이익은 31.27억으로 67.88% 감소. 회사측은 2023년 대비 파생상품거래 손실로 인한 영업외 비용 발생으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감소 및 당기순이익 감소라 설명.
SK증권은 3월14일 동방메디컬(240550)에 대해 올해·내년 확보된 계약 실적, 주요 국내 경쟁사들의 밸류에이션 등을 고려할 때 오버행 물량 해소 후 주가가 우상향하리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전 거래일 종가는 1만 680원이다.
박찬솔 SK증권 연구원은 “현재 수출 계약물량을 확보한 상황으로, 실적 가시성이 커서 보호예수 1개월 기간이 만료하면서 시장에서 동방메디컬 주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와 내년까지도 확보된 계약 실적, 주요 국내 경쟁사들의 밸류에이션, 시장의 성장률 등을 고려할 때 동방메디컬 주가는 오버행 물량 해소 후 우상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동방메디컬은 지난달 13일 코스닥에 신규 상장한 법인으로, 한방과 양방 미용 의료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다. 한방 의료기기는 일회용 한방침과 부항컵, 양방 미용기기는 필러, 캐뉼러, 니들류 등이 핵심 제품이다.
박 연구원은 “한방 의료 분야에서는 국내 압도적 점유율 1위 업체”이며 “서양 미용 의료기기 분야, 특히 HA Dermal Filler 진출을 통해서 성장의 다음 발판을 마련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동방메디컬은 지난해 3분기 누적 실적 기준 양방 제품 수출 비중은 22.0%, 한방제품은 40.8%를 기록했다. HA 필러(양방) 기준으로는 95.2%를 기록했다. 동방메디컬은 약 50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고, 글로벌 이해도가 있는 업체라는 평가다.
해외는 대표에이전트를 통해서 영업을 확대 중이며, 주요 지역별 파트너사는 중화권 Hainan So-Young Medical Tech.(필러)·Dongbang Bio-Tech(기타 미용), 북중미 Lhasa OMS(미용·한방), 남미 Xuli Comercro(한방), 기타 아시아권 Great Kuei Tai(한방)이다.
박 연구원은 올해 주목해야 하는 점으로 필러 수출 실적 증가를 꼽았다. 그는 “중국 신양그룹, 브라질 PHD와 계약한 물량이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 웅천(한방)·용인(양방), 천안(한방·양방), 분당(MTS 니들·롤러) 생산공장과 중국 청도·소주(한방침·채혈침, 뜸)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신양그룹향 필러는 기존 공장을 활용해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또 올해 계약된 물량 52억원 규모가 분기 단위로 고르게 실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봤다. 브라질향 필러의 경우가 변수인데, 172억원이나 되는 규모의 물량이 ANVISA(브라질의 기술 표준 수립을 담당하는 국립품질규격관리원(INMETRO)의 인증을 기다리고 있어서다.
박 연구원은 “이 부분이 해결되고 브라질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동방메디컬의 올해 핵심 투자 포인트로 보인다”며 “빠르면 4월, 늦으면 7월 중으로 ANISA 인증 여부가 가시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동방메디컬의 지난해 잠정 매출액을 1051억원과 영업이익 150억원, 순이익 31억원으로 추산했다. 그리고 올해 매출액 1300억원과 영업이익 280억원, 순이익 200억원으로 각각 예상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08.75억으로 전년대비 11.63% 증가. 영업이익은 164.77억으로 169.19% 증가. 당기순이익은 97.34억으로 193.19% 증가.
한방 의료기기 및 미용 의료기기 등의 제조 및 판매업체. 한방 의료기기(일회용 한방침, 일회용 부항컵 등)와 미용 의료기기(필러, 캐뉼러, 각종 니들류 등) 등을 고유 브랜드(동방침, 동방 부항컵, 엘라스티 필러, 엘라스티 스레드, DBC, Acuprime 등)로 국내 판매 및 아시아, 북미, 남미, 유럽 등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 최대주주는 김근식 외(49.02%), 주요주주는 원익 뉴그로쓰2020(10.50%).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2.76억으로 전년대비 50.18% 증가. 영업이익은 55.03억으로 19.45% 증가. 당기순이익은 130.64억으로 336.19% 증가.
2월13일 상장, 당일 1549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3월11일 910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17일 1147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1일 993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4월3일 118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일 1084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09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14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254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3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