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DDR 5 를 가면서 윈도우 11을 세팅을 하고 13600K 정도의 게임 프레임이 나오면서 그래픽 카드는 3060 ti 정도의 성능을
내는 가성비 컴퓨터를 없을까?
고민을 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저는 당장 라이젠 7600 라데온 RX 7600으로 맞추세요 이야기 드립니다.
보통 게임용 가성비 컴퓨터 하면 대체로 12400F 혹은 5600X cpu 에다가 RTX 3060 으로 선정을 하면 되거든요
이렇게 했을 때 가격은 125~130만원 초반부 갑니다.
물론 DDR 4 환경에서 말 입니다.
자제분들이나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선물을 하기에는 정말 싸면서도 좀 더 좋은 제품이 있는데...
전력소모량은 30% 정도 줄이면서 가성비 컴퓨터 구성을 하는데 있어서는 이게 정답이라고 봅니다.
그럼 가격이 CPU 36만원 그래픽카드 55만원 기타 비용 50만원 이렇게 쳐드려도 140만원은 넘구요 조립공임과 부가세를
포함을 한다면 155만원 정도가 실제 pc 구매가가 될 것 입니다.
13600K와 거의 근접한 성능의 PC를 115만원에 AMD로 설정을 한다면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선물 옵션용으로 해도 무방합니다만...
가정용으로 어린 자녀들에게 선물을 하기에는 적당한 가격이며 컴퓨터로써 EBS 방송도 보고 학교에서 진행하는 방과 후 수업
이런거 작성을 할때도 컴퓨터는 있어야 합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리얼벤치나 기타 작업용으로는 13600K가 3~4% 정도는 우수합니다. 하지만 게임의 성능이나 주식을 하는데 있어서는
7600만 해도 충분하다 오히려 13600K보다는 빠르다는 결론에 나오게 됩니다.
AMD 최 하위 라인업도 인텔 13500 보다는 우수하고 13600K에 거의 근접한 성능을 보여 줍니다.
원컴으로 2~3개의 실시간 생중계를 하는 컴퓨터는 솔직히 말해 드리자면 라이젠 7600은 조금 모자라지만...
일반 개인이 쓰기에는 차고 넘치는 성능 입니다.
논X 버전과 7600X와의 차이는 거의 미미할 정도의 1% 성능 차이에 가격도 1만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트윈 공랭쿨러를 써야 하느냐 혹은 기본쿨러로도 충분 하느냐의 차이라면 대략 PC구성 할때 가격은 거의 10만원
씩 차이가 나니까요....
주식만 한다고 했을 때는 기본쿨러로 충분 하지만 게임을 염두에 두고 있을 때는 2만원 짜리 사제쿨러를 달아주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저라면 7600X를 선택을 안하고 7600을 선택 합니다.
라이젠 2600으로도 충분히 주식프로그램이나 해외선물 돌리는데 CPU구매하면 그냥 끼워주는 기본 쿨러 가지고도 충분히 하거 든요
대충 7600 CPU의 성능은 여기 까지 13600K와 비빌 수 있다 이 정도로 하겠습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B650 메인보드를 설정을 했습니다. 라이젠 7600을 돌리는데 솔직히 A620 정도만 해도 충분 합니다.
하지만 오버클럭 안할껍니까? 주식이나 선물옵션 같은거 할때 CPU 오버클럭을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성능이 현격히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CPU 오버도 가능하고 램오버도 가능한 제품을 설정을 해 보았습니다.
방열판이 잘 달려 있으며 이 제품으로도 라이제 7950X 까지는 무리이지만 7800X 3D 정도는 가능하다
CPU TDP 120W 정도는 버틸 수 있는 전원부가 잘되어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주식을 하면서 음악을 들을 것은 아니잖아요 사운드가 풍부하고 좋은거 쓸려면 기가바이트 나 아수스 제품 쓰면 되지만
적어도 가격대는 10만원을 더 주어야 합니다.
CPU 오버클럭하고 램오버클럭 잘되면서 7800X3D 정도 버틸수 있는 전원부면 충분 하다고 봅니다.
PC 시장이 침체기에 들어 왔으니까 가격이 많이 하락을 했구요 작년 연말이나 올해 초만 하더라도
메인보드 하면 기본 35만원은 주어야 그나마 저가 제품을 구할수 있었기 때문에 가격이 하향 안정되었구요,,,
2025년 까지 라이젠 8600이나 9600이 오더라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고 봅니다.
가면 갈수록 CPU가 전력은 덜 먹는 방식으로 가기 때문에 MSI 메인보드로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신품 RX 7600 입니다. 라인업은 RX 6600XT 보다 훨씬 성능은 우위에 있구요 경쟁사 엔비디아의
RTX 3060 ti 와 동급 제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자녀들에게 컴퓨터 구성을 할 때 RTX 3060 정도만 구성해도 충분하다고 보거든요.....
RTX 3060 정도 장만할 금액으로 RX 7600은 정말 저가 라인업 구린게 아니구요,,,, 충분하다 가격이 좀더
떨어져서 20만원 후반대만 되어도 엄청나게 잘 팔릴수 있는 걸로 보입니다.
AMD 끼리 PBO 설정을 해서 라라랜드 구성을 한다면 15%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으니까요...
i5-13600K에 RTX3060 ti 와 라이젠 R5-7600에 RX 7600과 맞짱을 뜬다면 늘상한가 FX는 AMD 가 이긴다고 봅니다.
증권생방송 영상은 물론이고 영상편집도 가성비 있게 3060 ti 와 맞먹는 성능의 그래픽 카드를 싼 가격에 산다고 보면 됩니다.
전력 소모량도 70% 정도 적게 먹구요.....
라이젠 7600은 DDR 5 램을 5200MHZ 정도만 지원을 하기 때문에 5200짜리를 구매해야 하는데...
실제로 그런 제품들이 잘 없습니다. 그래서 삼성전자 것으로 4800짜리를 해도 되는데요...
고장이 거의 나지 않는 제품이고 오버클럭도 심하지 않을 정도로 6000MHZ 정도만 해주어도
쓰는데 아무 지장이 없습니다.
7950X3D 제품 이런거 살때는 튜링램 이런거 사서 7000MHZ 짜리 이런 램을 써도 됩니다.
하지만 전체 견적을 싸게 뽑아내어야 되는 상황이라면 저는 삼성전자 시금치 램 1세대 용으로
사라고 이야기 드립니다.
DDR 5 제품은 8기가부터 나오기 때문에 4장 구성을 해서 32기가로 해주시면 된다고 봅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AMD 제품이 워낙 저전력 제품이다 보니 파워는 500W 면 충분 하구요 7600을 장착해서 쓰는데 있어서도
8핀 단자 1개 이기 때문에 굳이 비싼 파워를 쓸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대체로 3~4만원 짜리 파워를 쓴다면 충분하다고 보기 때문에 잘만 기본형 500W 제품을 쓰더라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중고 부품을 쓰지 않고 신품을 강조를 하는데요 AS 잘 되어서 무상 3년 정도만 받아도 본전을 뽑고도 남습니다.
늘상한가 FX는 중고 뻥 파워를 쓰는데요 이상하게 고장이 잘 안나요..
채굴 같은거 안한다고 생각을 한다면 주식만 한다고 하고 요상한 게임 안즐긴다면 500W 정도면 충분 하구요.
중고 뻥 파워도 보조로 7000원 짜리 1개는 예비로 준비 해야 한다고 봅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SSD는 하이닉스 P31 정도 쓴다면 충분 하다고 봅니다.
P41은 가격대가 비싸구요 500GB 정도만 해도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지만 아무래도 1테라가 기본
으로 보는 것이 현재의 조립컴퓨터 하는 분들이 강조하는 용량 입니다.
불량율이 거의 없는 제품으로써 주식을 한다고 한다면 이제품으로 해주십사 이야기를 드립니다.
PM9a1 이런거 추천을 많이 드렸는데요 한국에서 생산을 하지 않고 해외조립품이기에 가격은 싸지만
실제 성능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이닉스는 이천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지역특산품이기 때문에 메이드인 코리아 제품을 사용하자
국산품을 이용하자고 이야기 드립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이젠 7600을 사용한다고 하면 기본 쿨러로도 충분히 커버는 됩니다.
하지만 더운 여름이나 모니터를 여러대를 장착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는 CPU의 온도가 높아지면 안되기 때문에
65W 이기는 하지만 시네벤치 이런거 돌리면 대략 92~93도 이렇게 나오거든요... 그래서 기본쿨러도 간당간당하다...
사제쿨러를 달았을때 팔라딘 400 으로 했을때는 86도 나옵니다. 그러면 대충 오늘 올려드리는 공랭쿨러의 성능도
생각해 볼수 있는데요 88도~90도 정도 한다고 보면 충분하다 굳이 3만원 후반부의 공랭쿨러나 트윈타워 같은 10만원
넘는 비싼 제품 사용 안해도 된다고 봅니다.
대충 라이젠은 95도 넘으면 쓸로트링 걸려서 컴이 꺼지거든요 그래서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것은 기본쿨러는 위험하니
저가형 사제쿨러라도 달아주자는 것 입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케이스는 브라보텍의 타이탄 글래스 블랙을 선택을 했습니다.
라이젠 7600을 선택을 했다면 그래픽 카드는 4090을 달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비교적 큰 타워를 선택을 했습니다.
상단부의 쿨링팬은 선택으로 달아 주시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항상 케이스는 업그레이드를 염두에 두고 합니다.
늘상한가 FX는 협소한 공간에 많은 컴퓨터를 놓고 사용 해야하는 환경이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 긴거 못씁니다.
게임을 잘 안하기 때문에 4k 모니터가 잘 돌아갈수 있는 rx 580 그래픽 카드가 정말 주식용으로는 최고거든요...
모니터 4대를 장착을 해도 별 이상은 없구요
주식하는 장소만 좀 더 확보가 가능하다면 저는 빅타워를 선택을 하고 싶습니다.
주식을 하면서 게임도 병행을 하면서 13600k에 3060TI 성능과 거의 맞먹는 라라랜드 R5 7600 RX 7600을 선정을 해 보았습니다.
전력소비량이 거의 70% 정도 밖에 안들 꺼예요 ... 신품으로 DDR 5 사용하는 최신형 컴을 저렴하게 하고 싶다면
오늘과 같은 컴퓨터 구성을 하면 될 것 입니다.
늘상한가FX 본인은 중고 라이젠 2600에다가 채굴품 RX 580 장착을 하고 DDR 4 4gb 2133mhz 4장 장착하고
쿨러는 기본쿨러 중고파워에 다가 모니터 4대 설치 해도 주식 하는데 모자람 없이 충분 하다는 것 입니다.
늘상한가FX 처럼 찟어지게 가난하게 세팅을 해서 지저분하게 막돌려도 수익내는 데는 전혀 지장은 없지만
그래도 신품으로 설정을 하고 전업투자자의 첫 걸음을 내 딛는다고 하는 분들이 있다면....
술은 새 부대에 컴퓨터는 신품으로 장만 하라고 이야기 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