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개미신사
2024/11/26 20:21 (114.200.***.187)
댓글 0개 조회 244 추천 0 반대 0



국내 한방파스 왕좌 티디에스팜(464280)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 경신을 노린다. 티디에스팜은 한방파스 시장점유율과 생산 분야에서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국내 한방파스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금연패치 등 신제품 출시와 더불어 비마약성 통증 경피흡수제제(패치) 등 사업 확장과 시설 증설을 통해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간다는 복안이다.

11월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티디에스팜은 지난해 매출 300억원, 영업이익 5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다. 티디에스팜은 올해 들어서도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올해 3분기 매출 219억원, 영업이익 34억원을 각각 거뒀다. 현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기록한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울 수 있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실적이 더욱 개선되는 업계의 특성상 4분기 실적이 크게 개선되기 때문이다.

티티에스팜은 2002년 설립 이래 단 한 번의 적자 없이 매 분기 흑자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티디에스팜의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가 실적을 견인했다.

티디에스팜 관계자는 “기존 제품이 가진 안정적인 수익창출원을 바탕으로 류마스탑파워플라스타, 케프로텍플라스타 등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은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티디에스팜은 근육통과 관절염에 사용하는 파스 등 일반의약품과 다양한 종류의 전문의약품을 개발, 생산한다. 티디에스팜의 경피흡수제제 제품은 파스라고 불리는 플라스타(첩부제)와 카타플라스마(습포제) 등이다. 티디에스팜의 주력 제품은 한방 복합 카타플라스마 한방 동의고와 리도케어카타플라스마 등으로 구성돼있다.

티디에스팜은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제품인 △안티푸라민 쿨파워 플라스타 △록펜텍 카타플라스마 △노맨스트롱 카타플라스마 △록펜텍 플라스타 카타플라스마 등도 출시했다. 티디에스팜은 피부과, 내과 등에 사용되는 시타타딘정, 티디콤비정과 같은 경구용(먹는) 내용고형제 전문의약품 등도 생산하고 있다.

특히 티디에스팜은 국내 한방 경피흡수제제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국내 한방 복합 카타플라스마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70%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 경피흡수제제(카타플라스마+플라스타) 시장 규모는 약 2000억원 수준이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경피흡수제제 시장 규모는 2022년 88억 7600만달러(약 12조 4000억원)에서 2026년 104억 1400만달러(약 14조 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티디에스팜은 연내 금연패치 니코스탑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티디에스팜은 금연 패치 개발과 생산, 파트너사는 금연 패치 판매와 홍보 등을 각각 담당한다. 국내 금연패치 등 금연보조치료제시장은 2015년 정부의 금연치료제 지원 정책이 시작되면서 활성화됐지만 2019년 불순물 검출 사태 이후 시장이 축소돼 2022년 기준 120억원대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복합성분의 비마약성 통증 경피 흡수제제와 암통증 억제용 경피 흡수제제도 개발하고 있다. 비마약성통증 경피 흡수제제는 3종 복합제로 개발한다.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국내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 시장은 약 12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전 세계 비마약성 진통제시장은 2030년에 약 100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티디에스팜은 암통증 억제용 경피흡수제제도 개발하고 있다. 암통증억제용 경피흡수제제는 소염진통제 디클로페낙이 주요 성분으로 75mg 고용량형이 될 전망이다. 암통증 억제용 경피흡수제제는 제형은 연내 결정된다. 티디에스팜은 비마약성통증 경피 흡수제제와 암통증 억제용 경피흡수제제를 2027년쯤 상용화할 예정이다. 티디에스팜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보조 패치와 요실금 패치도 개발 중이다.

티디에스팜은 생산시설도 증설한다. 티디에스팜은 연간 카타플라스마 최대 2억매(한방 포함), 플라스타 최대 60억매(한방 포함)를 생산할 수 있다. 티디에스팜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바탕으로 2026년 제2공장을 증설해 2027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티디에스팜은 현재 공장설립 부지 등을 검토하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수출도 확대한다. 티디에스팜은 최근 우즈베키스탄 경피흡수제제시장에 보령(003850)과 함께 진출했다. 금연패치를 앞세워 동남아시장 진출도 추진한다.

티디에스팜 관계자는 “티디에스팜은 기존 제품들의 안정적인 판매 속에 신제품 출시가 더해지면서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올해 4분기는 신제품 출시와 함께 더욱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 3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64.6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0.60% 감소. 영업이익은 8.47억으로 22.08% 감소. 당기순이익은 8.47억으로 12.32% 감소. 

개별기준 3분기 누적매출액은 219.0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58% 증가. 영업이익은 34.32억으로 1.44% 감소. 당기순이익은 31.22억으로 0.79% 감소. 



티디에스팜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티디에스팜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핫멜트(HOT-MELT)' 공법을 이용한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를 활용한 의료용 카타플라스마·플라스타 패치 등 개량신약 패치 개발에 가속화를 추진중에 있다.

9월10일 주식시장과 업계에 따르면 티디에스팜은 TDDS기반 의약품 개발·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다층구조설계 ▲친수성설계 ▲투습·통기성설계 ▲복합성분 제제 등 다양한 제제 제형의 제품 설계가 가능한 우수한 제품 구조설계 기술 경쟁력을 보유했다.2002년 설립한 티디에스팜은 22년 업력을 기반으로 독보적인 기술 경쟁력인 경피약물전달 시스템(TDDS)을 활용해 ▲타박상 ▲근육 ▲신경통 등에 쓰이는 다양한 의약품(의료용 카타플라스마·플라스타·패치)을 개발하고 있다.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란 약물을 피부를 통해 제어된 속도로 전달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 간·소화기관의 부작용을 최소화히며 흡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장시간 연속투여 등이 가능하다. 신약개발 투자비용을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티디에스팜은 국내 유일의 '핫멜트'(Hot-Melt) 공법을 이용한 제품 품질 차별화를 둔다. 핫멜트 공법은 피부 접착을 위한 점착제로 유기용매 대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해 피부 자극이 적고 친환경적이라는 특징을 가진 공법이다.

향후 회사는 TDDS 연계 ▲개량신약 패치 개발 ▲니코틴 패치제 생산 ▲코스메슈티컬 사업 진출 등을 통해 기존 사업을 확장하고 신규 사업 진출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김철준 티디에스팜 대표이사는 "티디에스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TDDS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며 티디에스팜의 경피약물전달시스템을 연계한 개량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300.49억으로 전년대비 17.43% 증가. 영업이익은 50.16억으로 32.58% 증가. 당기순이익은 46.88억으로 35.65% 증가.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DDS)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카타플라스마(Cataplasma, 습포제), 플라스타(Plaster, 첩부제) 등이 있음. 카타플라스마, 플라스타및 패치와 같은 경피 약물전달시스템 외 경구용 내용고형제 전문의약품 사업도 병행. 주요 사업인 카타플라스마와 플라스타 제품 생산 및 판매를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방식으로 운영. 최대주주는 김철준(45.71%).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255.88억으로 전년대비 영29.10% 증가. 업이익은 37.81억으로 63.40% 증가. 당기순이익은 34.56억으로 67.52% 증가. 


8월21일 상장, 당일 270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22일 607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1월15일 1197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25일 17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추가 조정시엔 저점매수 시점을 노려볼 수 있을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63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7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87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06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미신사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