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고영테크놀러지의 뇌수술용 의료로봇 ‘Geniant Cranial’이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 의료기기 분야에서 최우수상인 ‘Best of the Best’를 수상했다고 4월4일 밝혔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1955년 독일에서 시작된 세계 최고 권위의 디자인상 중 하나다.
iF 디자인 어워드, IDEA 디자인 어워드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힌다. 올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는 전 세계 수천여 개의 제품이 나왔다. 혁신성,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철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됐다. 이 중 ‘Best of the Best’는 상위 약 1% 이내의 제품에만 주어지는 가장 권위있는 상이다. ‘Geniant Cranial’은 100점 만점 중 98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디자인 완성도는 물론 혁신성과 실제 수술 환경 중심의 설계 철학에서 심사위원단의 전폭적인 찬사를 받았다.특히 실제 수술 환경에 맞춰 소형화된 로봇을 수술대 하단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구조, 집도의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는 설계, 수술 전후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 등이 차별화 요소로 평가됐다. 실제로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기업으로는 △인튜이티브 서지컬(다빈치 SP 수술로봇), △필립스(LumiGuide 3D 의료기기 가이드 솔루션), △암부(aScop Duodeno 단일 사용 내시경), △지멘스 헬시니어스(혈관조영 시스템 및 이동형 엑스레이 장비 등) 등이 있다. ‘Geniant Cranial’은 뇌전증, 파킨슨병, 뇌종양 등 다양한 뇌질환 수술에 활용 가능한 차세대 뇌수술용 의료로봇이다. 수술 정확도 향상과 환자 안정성 측면에서 의료 현장의 기대를 받고 있다. 수술 가이드 로봇과 내비게이션을 활용해 쉽고 정확한 위치 정합과 실시간 추적을 지원한다. 의료진에게 직관적인 경로 안내와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특히 실제 수술 환경에 최적화된 설계가 강점이다. 소형화된 로봇을 수술대 하단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 수술 공간 활용도가높고, 집도의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아 다양한 수술 자세와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수술 전후 이동과 보관도 용이해, 안정적인 수술 환경에 기여한다.고유리 고영 사업부장은 “이번 수상은 단순한 디자인 경쟁력 확보를 넘어, 혁신성과 사용자 경험 등 전반적인 제품 완성도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며 “특히 북미 등 주요 시장에서는 디자인 어워드 수상 이력이 제품 신뢰도와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의료 사업의 글로벌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영(098460)테크놀러지가 26~28일 중국 상해에서 열린 ‘프로덕트로니카(Productronica) 차이나 2025’에 참가해 3D 검사 장비 신제품과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3월31일 밝혔다.
프로덕트로니카 차이나는 SMT, 전자 제조, 전자 설계, 검사 등 전자 생산 전반을 다루는 글로벌 전자 생산 설비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 고영은 3차원 납도포 검사 장비(Solder Paste Inspection: SPI)와 3차원 부품 실장 검사 장비(Automatic Optical Inspection: AOI)의 신제품 노바(Nova) 시리즈를 공개했다. 고영의 차별화된 3차원 측정 검사 기술력을 갖춘 노사 시리즈(KY8030 Nova, Zenith Nova)는중국 및 인도 고객사에 특화된 제품이다.
고영은 아울러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KSMART’를 선보이며 고객들이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데모 존을 별도 구성해 전 세계 고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KSMART는 AI를 활용해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진단, 분석 및 최적화를 수행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KSMART의 핵심 솔루션인 KPO(Koh Young Process Optimizer)는 AI를 활용해 SMT 공정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며 스마트 리뷰 솔루션은 작업자를 대신해 가성불량(False call), 에러 등 검사 결과를 자동 식별해 생산 효율성과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고영은 같은 기간 열린 ‘세미콘 차이나 2025’에도 참가해 △반도체 패키징 검사 장비 마이스터(Meister) 시리즈 △젠스타(ZenStar)를 선보였다. 고성능 반도체 칩 생산에서 중추 역할을 수행하는 반도체 패키징 분야 검사 기술력을 소개하며 글로벌 고객사들로부터 호평받았다는 전언이다. 고영 관계자는 "제품 라인업 확대 및 AI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글로벌 고객사와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영테크놀러지(이하 ‘고영(098460)’)가 자체 개발한 뇌 수술 의료로봇이 오는 4월 미국 대형병원에 첫 출하를 앞둔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지난 1월20일(한국 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인증을 받은 뇌 수술 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은 허가를 받더라도 실제 판매가 이뤄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지 않겠느냐는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됐다.
3월26일 고영에 따르면 현재 회사는 지니언트 크래니얼의 미국 현지 출하를 위한 마무리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고영 관계자는 “가능한 조속한 시점에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종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이르면 오는 4월 중 첫 출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의료로봇 사업 초반부터 미국 시장을 염두에 두고 미국 샌디에이고에 영업오피스를 설립하는 등 전략적으로 준비해왔다.
박현수 고영 전략기획본부장은 “미국 시장 진입을 위해 10년 이상 준비해왔기에 인증과 동시에 의료로봇 공급이 가능했다”며 “이미 수년 전부터 미국 내 (의료로봇) 영업 및 서비스 인력을 확보했고 현지 키오피니언리더(KOL) 의사들과의 네트워크도 꾸준히 구축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니언트 크래니얼을 단순히 마케팅 목적이 아닌, 실제 뇌 수술에 사용될 병원에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뇌 수술 분야에서 권위 있는 의사가 있는 병원에 설치된다면 비록 올해 한 대만 설치되더라도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출발이 될 것”이라고 했다. 회사는 지니언트 크래니얼의 평균판매가격(ASP)을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한 대당 100만 달러(약 15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고영은 미국 시장 초기 진입 단계에서 고객접점을 직접 관리하는 방식으로 시장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향후 유통 파트너사와의 협업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도 일정 수준의 직판 체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뇌 수술용 로봇 시장은 이제 막 개척 단계여서 고객과의 직접 소통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박 본부장은 “우리가 직접 만든 의료로봇을 고객(의료진)에게 직접 판매하고, 그 과정에서 피드백을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새로운 기술이기 때문에 기술영업이 핵심이며, 그래야 의료진도 보다 쉽게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미국의 대표 의료로봇 기업인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도 사업 초기 대리점 영업을 하다 한계를 느끼고 대리점을 인수해 직접 판매·유통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니언트 크래니얼의 전신인 카이메로는 회사의 첫 의료로봇이었던 만큼 첫 판매가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20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이후 회사는 실제 로봇을 사용할 의사들에게 피드백을 구해 제품을 개선, 2020년 국내 첫 판매라는 성과를 냈다. 이후에도 의료진의 피드백과 이를 반영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져 마침내 탄생한 것이지니언트 크래니얼이다.
고영이 이제까지 개발해 온 반도체 검사장비와 달리, 의료로봇에서는 속도나 생산성보다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고영은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며 제품을 개선해왔다. 지니언트 크래니얼은 이전 모델인 카이메로에 비해 정확도와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소형화된 시스템 설계를 통해 수술 환경을 최적화했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기능 개선을 통해 사용자 경험도 강화됐다.
박 본부장은 “수술 중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를 다수 탑재했고, 그 결과 지니언트 크래니얼은 카이메로보다 한층 진화한 제품이 됐다”며 “기존에 카이메로를 사용 중인 국내 병원들에서도 추가로 지니언트 크래니얼 도입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는 등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카이메로는 이전까지 각각 따로 존재하던 3차원(3D) 센서와 로봇, 소프트웨어를 하나로 만든 의료로봇이다. 고영은 센서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두를 설계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회사에서 만든 의료로봇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보다 제품 최적화가 용이하다고 강조한다. 단 1㎜의 오차로 수술의 성패가 갈리는 뇌 수술에서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이다.
카이메로는 허가 이후 지난 5년간 국내에서 총 10대가 판매됐다. 업계에서는 미국과 일본에서의 판매가 개시될 올해에는 최소 10대, 최대 20대의 뇌 수술 로봇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영(098460)테크놀러지가 오는 18~20일 미국 캘리포니아 에너하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IPC APEX EXPO 2025’에 참가한다고 3월14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고영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의 3차원 납도포 검사 장비(SPI)와 3차원 부품 실장 검사 장비(AOI) 등 주요 3D 검사 솔루션과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KSMART’를 선보일 예정이다.
KSMART는 AI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공정을 모니터링, 진단,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이다. 여기에 탑재된 솔루션인 KPO는 정교한 3차원 측정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SMT(표면실장기술) 공정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한다. AI가 자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파라미터(설정값)를 제시하고 실시간 최적화를 통해 자동으로 공정 관리가 가능하다.
고영은 스마트 리뷰 솔루션도 함께 소개한다. AI가 자동으로 불량 판정을 수행해 가성불량(False call)을 줄이고 검사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으로 장비 운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검사 정확도를 높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영 관계자는 “3차원 측정검사 기술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SMT 및 반도체 패키징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며 “혁신적인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은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만큼 고객사들의 높은 수요에 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IPC APEX EXPO는 올해 25주년을 맞은 북미 최대 규모의 SMT 관련 전시회다. 매년 3만여 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세계 우수 기업이 대거 참여해 첨단 장비와 솔루션을 선보인다. 올해 검사 장비 업체는 전년 대비 41% 증가한 96개 사에서 참여한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25.38억으로 전년대비 10.23% 감소. 영업이익은 33.22억으로 83.69% 감소. 당기순이익은 209.99억으로 4.23% 감소.
반도체 검사장비 및 의료 로봇 전문업체 고영이 대만 진출에 박차를 가해 침체된 실적을 개선키 위해 나섰다. 대만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와 반도체 패키징 분야 1위 기업인 대만 ASE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밀집해 있다.
고영은 반도체 검사 장비인 3차원 납 도포 검사장비(3D SPI, 3분기말 매출 비중 36.5%), 3차원 부품 실장 검사장비(3D AOI, 49.4%)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AI 스마트팩토리솔루션, 뇌수술용 의료로봇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2월28일 고영 관계자는 “반도체 장비 사업에 있어서 기존에는 회사의 중국법인이 대만 지역까지 커버해왔다”며 “다만 현지 강화를 위해 대만 오피스를 최근 공식적으로 론칭 한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말 대만 법인을 설립했으며, 반도체 전문가를 영입해 대만 반도체 기업 및 전자제품제조(EMS) 전문업체에 접촉하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수년 간 고영의 실적은 부진했다.
전자공시시스템(다트)에 따르면 고영은 ▲2022년 매출 2854억원, 영업이익 443억원 ▲2023년 매출 2256억원, 영업이익 204억원 ▲2024년 매출 2025억원, 영업이익 34억원을 기록했다.
현재 고영의 의료 로봇 사업은 유의미한 매출을 확보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매분기 85%이상의 매출은 납도포 검사장비(SPI), 부품 실장 검사장비(AOI) 제조·판매 등 반도체 검사장비 사업으로 확보하고 있다. 2023년과 2024년 반도체 전방 시장 투자 지연에 따른 실적 부진이 이어졌고, 올해는 그동안 준비해온 AI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 반도체 검사 장비의 유의미한 실적 반영을 기대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당사의 3D SPI와 3D AOI제품은 다양한 반도체 기판(웨이퍼 레벨 패키징 포함)내에 장착된 칩(Die), 돌기(Bump), 칩과기판을 연결하는 솔더볼(Solder Ball) 등을 검사하는데 활용된다”며 “이에 장비 대다수는 반도체 업체에 공급되고 있으나 완성차 기업에도 일부 장비가 공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서 반도체, 완성차 등의 산업 부진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당사의 장비 공급 물량 감소로 실적 부진하지만, 회사 내부 역량은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며 “3D SPI와 3D AOI를 결합한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의 기술력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이 제품에 대한 영업을 진행해 실적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3D SPI 장비는 레이저로 높이와 부피까지 정밀하게 측정, 전자기기 회로기판에 뿌려진 납의 품질을 검사하는 장비다. 3D AOI 장비는 전자기기 제조 공정에서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 위 부품이 올바르게 배치되고 납땜이 제대로 됐는지 검사하는 장비다. 부품 높이, 형상, 납땜 상태 등을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3D SPI 장비와 3D AOI 장비는 주로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 5G 통신장비, AI 가속기 등의 생산 공정에 쓰인다.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지난 1월 리포트를 통해 “고영의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은 AI를 활용한 자동 저장·분석, 최적화 공정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며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는 해당 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다. 미국서 제조업을 육성하겠다는 트럼프 2.0 전략에 따라 향후 수요가 증가해 고영의 성장성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IM증권은 고영이 ▲올해 매출 2450억원, 영업이익 220억원 ▲2026년 매출 2810억원, 영업이익 36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월 11일 고영 기업 분석 보고서를 통해 “올해 1분기는 점진적인 실적 회복을 기대한다”며 “AI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반도체 검사장비 등을 글로벌 고객사에 판매를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고영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16.2%, 115.0%증가한 610억원, 68억원으로 추정했다.
고영 측 관계자는 “기존 스마트팩토리솔루션보다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을 고객사에 납품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상용화 단계까지 기술은 올라온 상황이며 관련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다만 새로운 제품에 대한 자세한 공급 시기는 언급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최근 여러 언론 및 증권사에서 고영을 의료 로봇 기업으로 바라보고 있으나 여전히 반도체 부문서 많은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는 사실도 전했다.
그는 “회사의 연구개발비는 총 매출 대비 20프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며 “의료로봇 부문보다 반도체 사업 부문서 종사하는 사원이 더욱 많으며 이에 연구개발비 역시 반도체 부문에 더욱 투입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56.31억으로 전년대비 18.05% 감소. 영업이익은 203.72억으로 53.97% 감소. 당기순이익은 219.25억으로 44.18% 감소.
전자제품 및 반도체 생산용 검사장비 제조업체. 전자제품 생산용, 반도체 생산용 3D 납도포검사기, 3D 부품 장착 및 납땜 검사기, 반도체 Substrate Bump 검사기를 제조하는 전자 제조 전문 서비스(EMS) 업체로, 휴대폰, 자동차 전장부품 업체 등에 공급.
주요 제품으로 3D SPI 장비(Solder Paste Inspection: 전자제품 조립 공정에서 Solder Paste 정상 도포 여부를 검사해 공정 불량을 감소시키는 장비)와 3D AOI 장비(Automated Optical Inspection: 전자제품 조립 공정 중 최종 검사 장비로 기존 2D 검사를 3D로 대체하는 장비) 등. SMT 전체 검사장비 시장(SPI+AOI) 세계시장 점유율 1위. 신규사업으로 의료장비(수술용 로봇)사업 진행중. 최대주주는 고영홀딩스 외(20.88%), 주요주주는 Allianz Global Investors GmbH(10.17%), First Sentier Investors (Australia) IM Ltd(6.11%), Baillie Gifford Overseas Limited(5.8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53.60억으로 전년대비 0.78% 감소. 영업이익은 442.59억으로 7.03%증가. 당기순이익은 392.84억으로 0.76% 감소.
2008년 11월21일 546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1월20일 3106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작년 12월9일 7610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18일 222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올 4월9일 1193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29일 1451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306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36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5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65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