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개미신사
2025/01/01 18:24 (114.200.***.187)
댓글 0개 조회 380 추천 0 반대 0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이성호 대표가 최근 국내외 화장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클린뷰티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했다.

지난 11월27일 오전 자체 브랜드 아이레시피의 신제품 ‘세라마이드 유자 바이오 클렌징 오일’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이성호 대표는 “앞으로 클린뷰티 화장품 시장은 확고한 기술력을 보유한 소재 기업들이 주도할 것”이라면서 이른바 ‘클린뷰티 2.0 시대’를 선언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외 시장을 주도 했던 클린뷰티 1.0 시대는 인디브랜드 주도로 성장해 왔지만 국내 유명 화장품 전문 제조사들을 통해 제조된 제품들로 큰 차이점을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비슷한 성분이 사용되고 유해 성분도 비슷하게 빠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클린뷰티 2.0 시대’는 화장품 원료부터 개발해 온 소재 기업 주도로 확고한 기술력과 차별점을 갖고 있다. 실제 효과를 검증한 성분과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는 기술로 제조된 제품은 기존 제품들과 확연하게 구분된다.

그 시작을 알리는 제품이 이번 간담회에서 선보인 아이레시피의 신제품 ‘세라마이드 유자 바이오 클렌징 오일’이란 것이 이 대표의 설명이다.

이 제품은 원료부터 소재, 처방까지 철저한 클린뷰티에 입각해 탄생됐다. 특히 이번 신제품은 선진뷰티사이언스만의 독자적인 클린테크 기술력과 처방을 바탕으로 개발된 차세대 바이오 오일 ‘이지라이트(EZLiteTM)’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핵심 성분인 ‘EZLiteTM 바이오 오일’은 피부 친화적인 성분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 ‘바이오컨버전 공법’을 통해 기존 오일 제조 방식에서 요구되는 4단계 공정을 2단계로 간소화해 에너지 소비와 폐기물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인 친환경 오일이다.

EZLiteTM 저분자 오일이 모공 속까지 빠르게 침투해 메이크업이나 자외선차단제뿐만 아니라 딱딱하게 굳어버린 피지와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요철 없이 매끈한 피부 스케일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급속 유화되고 가벼운 텍스처로 잔여감이 없어 논코메도제닉(Non-comedogenic : 모공을 막지 않아 여드름을 유발하지 않는)을 구현하기 때문에 민감성 피부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라마이드와 발효유자추출물을 함유해 세안 후에도 피부가 당김 없이 촉촉한 마무리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이번 아이레시피 신제품에 적용된 기술과 성분을 확대해 스킨케어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성호 대표는 “기존 클린뷰티는 국내 화장품 제조사들과 브랜드 마케팅 의존도가 높아 차별화하기가 힘든 시장이었다”며,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이제 아이레시피의 바이오 클렌징 오일 신제품 출시를 기점으로 클린테크 소재사 주도의 클린뷰티 2.0의 시대를 열고자 한다”고 강조햤다. 이어 “근본부터 차별화된 혁신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클린뷰티의 가치를 선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연매출 800억원대의 소재 전문 기업으로 확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 유수의 화장품 기업에 원료를 공급하고 있으며, 소재 개발은 물론, 직접 제조까지 가능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자체 브랜드인 아이레시피는 2021년 선진뷰티사이언스의 ODM(제조업자설계생산)과 OEM(주문자위탁생산) 노하우를 바탕으로 론칭됐으며 올해부터는 올리브영 입점 등 국내외 유통망을 확대 중이다.

친환경 패키지 사용, 바다 산호초 보호를 위한 리프 세이프 포뮬러 적용, 프랑스 이브 비건 인증 및 크루얼티 프리 정책을 엄격히 준수하며 피부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스킨케어, 선케어, 클렌징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이날 이성호 대표는 브랜드 사업 전개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에 진심이라면 하드웨어도 너희가 직접 만들어라 라는 말을 듣고 사업을 확장한 애플의 사례처럼 확고한 기술력을 직접 소비자들에게 확인 받고 싶다는 마음으로 브랜드를 론칭하게 됐다”면서 “빠르면 3년 안에 아이레시피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히기도 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브랜드 ‘아이레시피(irecipe)’의 ‘아쿠아 피토플렉스 크림 인 토너 미스트’ 제품이 2024 하반기 화해 뷰티 어워드 미스트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고 지난 11월25일 밝혔다.

이번 ‘미스트’ 부문 1위를 차지한 아이레시피의 아쿠아 피토플렉스 크림 인 토너 미스트는 토너와 크림을 결합한 제품으로 240시간 지속되는 강력한 보습력을 바탕으로 피부 장벽 강화와 속광 부스팅이라는 두 가지 핵심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고 한다. 아이레시피만의 독자적인 아쿠아 피토플렉스 공법으로 모공의 1/400 크기의 초미세 입자로 설계된 제품은 피부 깊숙이 흡수되어 오랜 시간 보습력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민감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자극 약산성 pH 포뮬러를 적용했으며, 9가지 주요 유해 성분을 완전히 배제하고 EWG 그린 등급의 검증된 원료만을 엄선했다고 한다. 제품 생산과정에서도 클린뷰티의 철학으로 동물 실험도 일체 진행하지 않았다고 한다.

선진뷰티사이언스 관계자는 “향료, PEG(합성계면활성제) 등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성분을 완전히 배제한 순수 무향 안심 포뮬러와 혁신적 마이크로 입자 공법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보한 결과이며 이번 성과를 통해 아이레시피는 혁신적인 제품력과 지속 가능한 뷰티 철학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화해 어워드는 뷰티플랫폼 ‘화해’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 뷰티 시상식이다. 약 1100만 명의 화해 앱 사용자들이 작성한 실제 사용 후기와 평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상 제품을 선정하기에 소비자들의 진정성 있는 평가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이레시피 관계자는 “이번 1위 선정은 클린뷰티라는 브랜드 철학과 피부에 진정으로 필요한 성분만을 담으려는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피부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전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며 신뢰받는 브랜드가 되겠다”고 말했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82.2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1.67% 증가. 영업이익은 25.20억으로 72.13%증가. 당기순이익은 14.08억으로 147.89% 증가. 

연결기준 3분기 누적매출액은 608.6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1.24% 증가. 영업이익은 101.46억으로 43.63% 증가. 당기순이익은 76.96억으로 46.48% 증가.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중국·미국 등 해외 선케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난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올해 2분기 누적 매출 426억원, 영업이익 76억원을 기록했다고 8월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 36% 증가한 금액이다.

호실적을 견인한 건 마이크로비드(기초·색조 화장품 개선 용도)와 자외선 차단 소재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비드 매출은 올해 2분기 162억원으로 전년 동기(129억원) 대비 25.6% 증가했고, 자외선 차단 소재는 132억원으로 전년 동기(112억원) 대비 17.9% 늘었다.

마이크로비드는 메이크업 제품과 자외선 차단제 등 다양한 화장품에 적용되는 소재다. 회사 측은 마이크로비드와 같은 고부가가치 화장품 소재 매출이 늘면서 매출과 수익성이 모두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하반기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자외선 차단 소재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ODM(제조업자설계생산)·OEM(주문자위탁생산) 시장 공략을 지속하겠단 계획이다. 앞서 7월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글로벌 화장품 ODM·OEM 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소재 전용 ODM·OEM 공장 착공에 돌입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생산 기준에 맞춰 설계·건설되며 내년 초 준공 후 FDA에 OTC(일반의약품) 제조사 등록을 마친 뒤 가동될 예정이다. 또 미국 시장 등에서 화장품 포뮬러(처방), 패키지 개발 등에 강점을 갖고 있는 씨티케이(CTK)와의 협력도 추진하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양사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ODM·OEM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18.4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4.70% 증가. 영업이익은 38.08억으로 48.28% 증가. 당기순이익은 26.84억으로 59.57% 증가.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26.3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8.11% 증가. 영업이익은 76.25억으로 36.17% 증가. 당기순이익은 62.88억으로 34.20% 증가.


 

선진뷰티사이언스(086710, 대표이사 이성호)가 자외선 차단제를 비롯한 선케어 제품 ODM(제조업자설계생산) 및 OEM(주문자위탁생산) 시장 공략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충남 장항에 위치한 장항공장 부지 내에서 'OTC(Over The Counter drug, 일반의약품)' 화장품 ODM·OEM 전용 공장 착공식을 작년 7월15일 진행했다고 밝혔다. 본 공장은 선진뷰티사이언스의 4번째 생산기지로, 약 4760㎡(약 1440평) 면적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설된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글로벌 화장품 ODM 및 OEM 시장 확대 대응을 목적으로 180억원을 투자해 신규 공장을 건설한다고 지난 달 공시한 바 있다. OTC ODM-OEM 전용 공장은 기존 공장과 마찬가지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생산 기준에 따라 설계·건설되며, 내년 3월 준공 후 4월 내 FDA에 OTC 제조사로 등록을 마친 뒤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제품 생산 기지 확보와 동시에 화장품 플랫폼 기업 씨티케이(CTK)와 협업을 진행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씨티케이는 화장품 포뮬러(처방), 패키지 개발력과 풀필먼트[1] 운영을 통한 물류 노하우를 통해 미국 등 해외로 시장을 넓히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2019년 FDA가 진행한 감사를 NAI(No Action Indicated, 보완사항 없음) 등급으로 통과한 APIs(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의약품 내 주성분) 생산 기업이며, 전용 공장 건설 및 씨티케이와의 본격적인 협업을 통해 미국 시장 공략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 관계자는 "자외선 차단 전용 제품은 물론 자외선 차단 소재가 포함된 컨실러나 파운데이션 등 메이크업 제품을 개발, 생산하기 위해 씨티케이와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라며 "양사의 강점을 살리며 협업 시너지를 극대화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OEM, ODM 시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점유율 높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선진뷰티사이언스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반등을 보이고 있다. 오는 7월 1일 미국 식품의약국(이하 FDA)의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The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의 시설과 제품 등록 의무화를 포함한 대부분의 규정이 완전 발효된다는 소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국 FDA 인증을 받은 제조업체로 자외선차단원료 등 제조설비와 원료에 대해서 FDA의 허가를 받아 수혜주로 부각되는 모습이다.

작년 6월21일 주식시장과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오는 7월 1일 미국 FDA의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ㆍThe 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 of 2022)'의 시설과 제품 등록 의무화를 포함한 대부분의 규정이 완전 발효된다. MoCRA는 1938년 제정된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The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이후 84년 만에 바뀐 규제다.MoCRA의 주요 규정은 크게 7가지다. △시설 및 제품 등록 의무화(Mandatory Facility Registration and Product Listing), △제품 안전성 입증(Safety Substantiation), △라벨링 규제(Labeling), △우수 제조 관행 가이드라인 표준화(Good Manufacturing Practice), △유해 사례 보고 및 관리(Adverse Event Report and Keeping), △회수 처리(Recall), △활석 및 과불화화합물 함유(Talc and PFAS)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중 '시설 및 제품 등록 의무화' 규정의 경우 당초 2023년 12월 29일부 발효 예정이었다. 그러나 FDA가 화장품 업계 의견을 수렴해 업계가 새로운 의무 사항을 이행하는데 어려움을 완화하고자 오는 7월 1일로 발효일을 6개월 연기했다. 기한 연장을 통해 규제 당국이 업계에 새로운 규제를 준비할 시간을 추가로 제공한 만큼, 규제 위반 시 제재 조치가 더욱 엄격해질 것이라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현재 미국의 경우, OTC 전용 화장품은 의사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입 가능한 화장품으로 분류돼있다. 일반 화장품보다 피부 개선 효과가 더 강력하거나 특정 피부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됐다.이에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오는 7월 미국에서 시행하는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에서도 자유롭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심리가 작용하는 모습이다. MoCRA 법안은 미국에서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 앞으로 화장품 제조사는 제품 개발 후 FDA에 필요한 문서를 제출하고 검사를받아야 한다.특히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받은 제조업체의 수혜가 확실해 보이는 가운데 아시아 화장품 소재 기업 중 FDA 인증을 받은 기업이 선진뷰티사이언스와 일본의 T사가 유일하다.



화장품 원료 제조 전문 기업 선진뷰티사이언스가 자외선 차단제 등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는 'OTC(Over The Counter drug, 일반의약품)' 화장품 생산 전용 공장을 건설해 매출 규모 확대에 나선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작년 6월13일 공시를 통해 OTC 전용 화장품 ODM(제조업자설계생산) 및 OEM(주문자위탁생산) 공장 건설을 위해 180억원 규모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미 수주 확정된 ODM 및 OEM 물량이 꾸준히 늘고 있고, 추가 주문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신규 공장 건설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신규 공장은 장항공장 부지 내 약 4760㎡(약 1440평) 면적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며, 생산능력(CAPA)은 연간 약 600억원 규모다. 회사 측은 신규 공장 또한 기존 공장과 마찬가지로 FDA의 생산 기준에 따라 설계해 건설하고, 내년 3월 준공 후 4월 내 FDA 등록을 마친 뒤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자외선 차단 소재가 포함된 화장품은 선크림과 선스틱 등 자외선 차단 전용 제품이 대표적이나, 미국을 중심으로 파운데이션이나 컨실러 등 자외선 차단력을 갖춘 멀티기능성 유화 메이크업 제품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미국 인디 브랜드가 호황을 누리며 국내외 OEM 기업의 공장 가동률도 이미 높아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진뷰티사이언스는 FDA인증 이력과 미국 판매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 등에서 OEM·ODM 관련 수요 증가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회사 관계자는 "신규 공장에서는 자외선 차단 전용 제품과 메이크업 관련 다기능성 선케어 제품을 모두 생산 가능하며, OEM 제품에는 자사의 화장품 소재를 활용해 이익률 등 수익성 증진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동남아 내 기존 고객 물량은 물론 유럽, 인도 등 신규 고객사도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한편, 미국 시장 공략에도 본격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6.22억으로 전년대비 12.9% 증가. 영업이익은 90.44억으로 70.0% 증가. 당기순이익은 655.8억으로 67.4% 감소.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력 사업인 화장품 소재 사업은 자외선 차단 소재, 마이크로비드, 스킨케어 소재 등 3가지 품목군으로 분류되며, 화장품 완제품 사업(IRECIPE)도 영위. 이 외 양이온 계면활성제(공업용, 가정용), 산업용 소재(디스플레이 광학소재용 폴리머비드) 사업도 영위. 최대주주는 이성호 외(55.21%).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3.32억으로 전년대비 32.09% 증가. 영업이익은 53.21억으로 43.73% 증가. 당기순이익은 201.05억으로 1138.76% 증가. 


2022년 10월14일 4535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작년 6월14일 242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120일선 아래로 밀렸으나 12월9일 844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16일 9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7일 877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859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89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985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084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