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종목현미경]윈포넷_주가등락폭은 다소 큰 편
종목스페셜
2011/08/11 13:21 (000.000.***.000)
댓글 0개 조회 466 추천 0 반대 0
- 위험대비 수익률 -1.1로 상위권, 업종지수보다 높아
- 관련종목들 상승 우세, 통신장비업종 +1.11%
- 뚜렷한 매수주체 없어
- 주가등락폭은 다소 큰 편
-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 4,150원 근방에 저항매물대가 존재

위험대비 수익률 -1.1로 상위권, 업종지수보다 높아

11일 오후 1시5분 현재 전일대비 9.16% 오른 3,695원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윈포넷은 지난 1개월간 5.5%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에 위험를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4.7%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닥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윈포넷의 주가가 월간기준으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변동성도 적정한 수준을 유지했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윈포넷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1을 기록했는데, 주가는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위험대비 수익률은 상위권에 머물러 있다. 또한 코스닥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2.7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윈포넷이 속해 있는 코스닥업종은 통신장비지수보다 변동성은 낮고, 수익률은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업종등락률이 마이너스지만 지수에 비해서는 안전하게 선방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위험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순위 % 순위 % 순위
현대디지탈텍 1위 6.7% 3위 -11.2% 3위 -1.6
휴바이론 2위 5.1% 4위 -19.1% 4위 -3.7
윈포넷 3위 4.7% 2위 -5.5% 2위 -1.1
현대통신 4위 4.7% 5위 -24.4% 5위 -5.1
코위버 5위 2.0% 1위 0.9% 1위 0.4
통신장비 - 3.0% - -12.0% - -4.0
코스닥 - 2.7% - -7.3% - -2.7

관련종목들 상승 우세, 통신장비업종 +1.11%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상승이 우세한 가운데 통신장비업종은 1.11% 상승중이다.
휴바이론
480원 ▲12(+2.56%) 코위버
1,700원 0 (0.00%)
현대디지탈텍
1,470원 ▲175(+13.51%) 현대통신
2,050원 ▲110(+5.67%)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지속감소중이지만 현재 9.86%로 업종평균 상회. 유동성은 다시 개선중. PER은 7.04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0.76으로 다소 낮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윈포넷은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윈포넷 현대통신 휴바이론 코위버 현대디지탈텍
ROE 10.8 -13.0 0.0 1.1 -46.1
PER 7.0 - - 30.7 -
PBR 0.8 0.5 - 0.3 0.7
기준년월 2010년12월 2010년12월 2010년12월 2010년12월 2010년12월

주가등락폭은 다소 큰 편
최근 한달간 윈포넷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09%로 집계됐다. 동기간 일평균 주가변동률은 9.6%로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상승과 하락의 강도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을 적용해볼 때는 중립적인 상태에서 큰 변동은 없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뚜렷한 심리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관점에서 불완전 정배열상태를 보이며 하락으로 추세전환 신호가 나오고 있다.
    침체 약세 보통 강세 과열 
   주가
   거래량
   투자심리

4,150원 근방에 저항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4,1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150원대는 전체 거래의 28.1%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4,035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크기때문에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2매물대인 4,035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2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4,035원대의 저항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종목스페셜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