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마약 복용
gregory16
2025/06/07 11:57 (49.1.***.59)
댓글 0개 조회 112 추천 0 반대 0

"대단한 마약 중독자"…골칫덩이 머스크 참던 트럼프 결국 폭발


백악관 실세들 사이에선 진작 눈 밖에 나…벼르다 워싱턴 떠나자 맹공

머스크 우군이었던 밴스도 "이렇게 대통령 공격한 건 큰 실수"

https://r.yna.co.kr/www/home_n/v03/img/ico_view01.svg"); background-size: calc(100% - 10px);">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단호히 손절한데는 그간 머스크가 잦은 돌출행동으로 '정권의 골칫덩이'로 전락했다는 점이 배경이 됐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7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정적은 물론 측근들로부터도 공격을 받던 머스크를 계속 감싸던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파국을 선택하기까지 두 사람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는 결정적 사건들과 관련 내막을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일 머스크가 소셜미디어(SNS) 엑스를 통해 자신에게 공개적으로 비난을 퍼부은데 충격을 받은 트럼프 대통령은 측근과 지인들에게 전화를 돌려 관련 상황을 의논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를 "대단한(big-time) 마약 중독자"로 지칭하면서 머스크의 행동이 약물의 영향일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통화 내용을 잘 아는 한 소식통은 전했다.

WP는 비록 이날 공개 설전을 통해 트럼프와 머스크의 관계가 공식적으로 파국을 맞았지만, 두 사람의 동맹 관계에는 훨씬 전부터 금이 가고 있었다고 짚었다.

정무적 감각 없이 파격적인 정책을 무작정 밀어붙이는 머스크의 일 처리 방식은 백악관 참모들이 진작에 머스크로부터 등을 돌리게 만들었으며, 끝없이 구설수를 몰고 다니는 머스크와 서서히 거리를 두던 트럼프 대통령도 그의 발언 수위가 선을 넘자 결국 폭발했다는 것이다.

https://r.yna.co.kr/www/home_n/v03/img/ico_view01.svg"); background-size: calc(100% - 10px);">이미지 확대
머스크 테슬라 CEO
머스크 테슬라 CEO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당초 대선 승리의 일등 공신으로 백악관에 입성한 머스크와 트럼프의 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은 지난 2월 머스크의 정부효율부(DOGE) 팀이 연방정부 직원 전체에 지난 일주일간 이룬 성과 다섯 가지를 작성해 보내라고 지시하는 이메일을 보내면서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당국자들조차도 이러한 이메일에 대해 사전에 정보를 받지 못했고, 이는 행정부 전체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심지어 행정부 소속이 아닌 연방 지방판사나 기밀 정보를 다루는 부서에도 이러한 이메일이 발송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머스크가 정부 기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퍼지게 됐다.

특히 백악관의 실세 중 실세로 불리며 트럼프 대통령의 막대한 신임을 받는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이 이 사건을 계기로 머스크와 DOGE 팀에 등을 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로도 머스크의 DOGE팀이 거침없이 연방정부 기관들을 상대로 구조조정 칼날을 휘두르고 다니면서 머스크는 반(反)트럼프 세력의 대표적 공격 대상으로 자리 잡았다.

그런 가운데 4월 1일 치러진 위스콘신주 대법관 선거에서 머스크가 전폭 지지를 보낸 보수 성향 후보가 패배하자 백악관과 워싱턴 정가에서는 머스크가 단순한 정치적 리스크 수준을 넘어 현 정권의 '골칫거리'가 됐다는 인식이 형성됐다고 워싱턴 정가에 대해 잘 아는 한 소식통은 전했다.

머스크는 관세 정책을 놓고 대통령의 무역 정책팀과도 갈등을 빚었으며, 이는 대통령 무역 참모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의 공개 충돌로 이어졌다.

특히 지난 4월 중순 머스크가 베선트 장관과 백악관 한복판에서 욕설을 주고받으며 주먹다짐에 가까운 싸움을 벌인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트럼프 1기 백악관의 수석전략가였던 스티브 배넌은 머스크가 '럭비선수 마냥' 어깨로 베선트 장관의 흉곽을 들이받았고, 베선트 장관이 맞받아치면서 주변 사람들이 두 사람을 떼어놓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배넌은 관련 소식을 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건 너무 지나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https://r.yna.co.kr/www/home_n/v03/img/ico_view01.svg"); background-size: calc(100% - 10px);">이미지 확대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는 머스크 CEO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는 머스크 CEO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결국 4월 말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에 몰두하겠다며 백악관 일에서 손을 떼기 시작하자 벼르던 기회를 잡게 된 백악관 인사들은 곧바로 본격적 공세에 들어갔다.

머스크의 임기 내내 그와 갈등을 빚던 세르지오 고르 백악관 인사 국장은 머스크의 측근으로 분류된 재러드 아이작먼 당시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 지명자가 과거 민주당 후보에게 여러 차례 정치적 기부를 했다는 내용의 서류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내밀었다.

백악관 인선을 두고 갈등을 빚어 온 고르 국장은 그간 주변에 머스크에게 보복하고 싶다는 말을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작먼의 후보 지명을 철회했고, 이는 머스크의 우주 진출 야망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혔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머스크 환송회를 열어주며 대외적으로는 우호적 관계를 연출했으나, 머스크가 자신의 핵심 정책인 감세법안을 비난하기 시작하자 참아왔던 악감정을 주변에 터뜨리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백악관 고위 당국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부 재정에 관한 머스크의 입장은 원래 알고 있지 않았느냐고 말하며 이를 진정시키려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이달 5일 백악관 집무실에 모인 기자들 앞에서 참아오던 분노를 터뜨렸다.

그는 머스크가 자신의 감세 법안에 공개적으로 반대한 것에 "매우 실망했다"며 "우리(관계)가 더 이상 좋을지 모르겠다"고 말해 이후 이어진 비난전의 포문을 열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와의 공개 설전이 시작된 첫날에는 주변 측근들에게 불에 기름을 붓지 말라며 자제를 촉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JD 밴스 부통령에게는 머스크와의 상황에 관한 질문에 대한 발언을 주의하라면서 "외교적인 태도로" 대응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고 WP 등 외신은 전했다.

한편 작년 미국 대선 과정에서 머스크가 자신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부통령 후보로 추천한 것을 계기로 우호적 관계를 맺어 온 밴스 부통령도 이번 설전 과정에서 머스크가 '큰 실수'를 했다며 선을 그었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녹화된 팟캐스트 방송에서 "머스크의 사업이 계속 공격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느끼는 좌절감은 이해한다"면서도 "이렇게 대통령을 공격하는 것은 큰 실수다. 이는 우리나라에도 좋지 않고 일론에게도 좋지 않다"고 말했다.

wisefool@yna.co.kr




트럼프-머스크 갈등 빚는 가운데 "DOGE도 조사 필요"

https://r.yna.co.kr/www/home_n/v03/img/ico_view01.svg"); background-size: calc(100% - 10px);">이미지 확대스티브 배넌
스티브 배넌

[UPI=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책사였던 스티브 배넌이 트럼프 대통령과 요란하게 충돌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마약 복용과 불법 체류 의혹 등을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BS방송에 따르면 배넌은 6일(현지시간) 전화 인터뷰에서 머스크의 "마약 복용과 중국과의 연루 여부를 들여다 봐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의 시민 자격도 조사해야 한다"라며 머스크의 미국 시민권 취득 경위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배넌은 "만약 그가 비자 허용 기간보다 더 오래 체류하고 이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면 옳지 않다"라며 "따져봐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는 18세 생일 직전 캐나다로 이주, 캐나다 시민권을 얻었고, 이후 2002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넌은 머스크가 수장을 맡았던 정부효율부(DOGE)에 대해서도 면밀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이 인공지능(AI) 모델에 입력하기 위해 자료를 가져갔는지 지금 조사해야 한다"라며 이는 "국가 안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머스크가 이끌던 DOGE는 행정부 각 부처에서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배넌의 이번 발언은 전날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노골적인 비난전을 벌인 가운데 나왔다.

배넌은 2023년 머스크가 "중국 공산당에 포섭됐다(owned)"고 주장하는가 하면 지난 1월에도 머스크가 '통제 불능'이라고 비난하는 등 머스크에 대한 반감을 숨기지 않아 왔다.

'브로맨스'를 과시하던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머스크가 지난달 30일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나 백악관을 떠난 후 급격히 악화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을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서 양자 사이의 갈등이 증폭됐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가 미쳤다", "매우 실망했다"면서 분노를 표했고, 머스크는 "배은망덕하다"면서 '트럼프 탄핵'에 대한 지지를 공개 표명하기에 이르렀다.

머스크는 작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위한 선거운동 자금으로 약 2억7천만달러(약 3천700억원)를 기부한 바 있다.

dylee@yna.co.kr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