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유니퀘스트 주가가 상한가다.
지난 12월30일 오후 2시 43분 유니퀘스트는 전 거래일 대비 29.88%(1530원) 오른 665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엔비디아가 내년 상반기 중 휴머노이드 로봇용 소형 컴퓨터의 최신 버전 '젯슨 토르'(Jetson Thor)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전해지면서 관련 플랫폼을 국내에 독점 공급하고 있는 사실이 부각되며 강한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현지시간으로 29일 엔비디아가 내년 상반기 중 휴머노이드 로봇용 소형 컴퓨터의 최신 버전 '젯슨 토르'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엔비디아는 AI 로봇에 들어가는 반도체에서부터 로봇 훈련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솔루션을 공급, 다가오는 로봇 혁명 시대에 선도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엔비디아의 로봇 부문 부사장 디푸 탤러는 "챗GPT 출시 이후 AI 산업이 급성장한 것과 같이 물리적(피지컬) AI와 로봇 부문에서 '챗GPT 순간'을 눈앞에 두고 있다"면서 시장이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급격한 변화 시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AI 혁신은 디지털에서 피지컬로 확산할 것"이라며 로봇과 AI를 조합한 기술 혁신을 전망하기도 했다.한편 유니퀘스트는 지난해 10월 엣지 AI와 로보틱스를 위한 엔비디아 젯슨 모듈(NVIDIA Jetson modules)과 개발자 키트 전 라인업을 국내에 공급한다고 공식 발표했다.엔비디아 젯슨은 백만 명 이상의 개발자가 사용하는 AI 엣지 컴퓨팅 플랫폼이다. 지능형 머신 제조업체와 AI 개발자는 사전 훈련된 AI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젯슨 라인업 전반에 걸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지원을 통해 임베디드와 엣지 디바이스에서 고품질 소프트웨어 정의 기능을 구축, 배포할 수 있다. 이는 생성형 AI, 로보틱스, AIoT,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농업,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활용 가능하다.
작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693.5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13% 증가. 영업이익은 78.45억으로 10.30% 감소. 당기순이익은 47.46억으로 37.78% 감소.
연결기준 올 3분기 누적매출액은 5126.2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25% 증가. 영업이익은 254.83억으로 5.31% 감소. 당기순이익은 162.71억으로 19.60% 감소.
유니퀘스트 주가가 크게 올랐다. 작년 10월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7.67% 올라 463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칩 시장의 성장과 함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AI 반도체 칩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I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반도체 칩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관련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유니퀘스트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발맞춰 AI 반도체 칩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유니퀘스트는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성능 AI 반도체 칩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AI 반도체 칩은 인공지능(AI)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특화된 반도체 칩이다. 기존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달리, AI 반도체 칩은 인공신경망 연산에 최적화돼 있어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자율주행 자동차, 스마트팩토리 등 AI 기술이 접목되는 분야에서 유니퀘스트의 기술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59.26억으로 전년대비 9.9% 감소. 영업이익은 339.86억으로 16.9% 감소. 당기순이익은 163.41억으로 62.9% 감소. 사측은 비메모리반도체 판매 감소에 따라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감소 하였고 관계기업투자 지분법손익 감소와 이자비용의 증가 등으로 당기순이익이 감소 하였다고 설명.
특정 지역 및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영업 및 테크니컬 마케팅 등을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솔루션 공급업체. 무선단말기, 디지털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에사용되는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및 솔루션 제공사업 영위. 23년7월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주)드림텍에 흡수합병하는 분할합병 결정((주)드림텍 기명식 보통주식 : 유니퀘스트(주) 기명식 보통주식 = 1 : 0.8328518, 분할합병기일: 2023-10-01, 신주상장예정:2023-10-23). 최대주주는 임창완 외(46.52%).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94.60억으로 전년대비 25.12% 증가. 영업이익은 409.13억으로 66.66% 증가. 당기순이익은 440.83억으로 27.01% 감소.
2008년 10월28일 539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2월23일 1135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2월9일 401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65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677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745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82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