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내가 셀트에 바랐던 그림이 네이버에..
바이5트리온
2025/06/21 14:37 (211.234.***.79)
댓글 6개 조회 4,940 추천 146 반대 20
네이버보다 셀트가 단순 주가상 작년엔 높았죠..?
네이버 역시 꾸준히 성장했고
셀트도 성장했죠

셀트가 사실 25만 라인을 먼저 밟을 줄 알았습니다.

3000피에도 16만을 밟는 지금.. 이건 승계가 아니면 머무를 이유가 없는 거 같네요;;

바이오 상승장에 오르기 쉬운걸 누구보다 잘 알았을텐데요.. 억지로 누르고 누르고..
지수 30퍼 폭발 상승하는 지금도 누르고 누르고
지금은 입꾹닫하는 모습이 참..

그럼에도 존버할수밖에없는 현실..
회사는 처음 구멍가게 셀트리온이 이렇게 클 수있던건 주식을 상장하고 투자받았기때문임을 인지해야됩니다..

사실 지금은 헤이홀더 지분모으는것과 상법개정으로 하려던 승계방법을 꺾어놔야 주가가 제자리에 올것같네요.. 기달려봅시다 그날을..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삭제된 댓글입니다.
목표가125만 06.21 17:51 (118.235.***.26)
서회장이 죽던가 그냥 승계를 빨리하던가
삭제된 댓글입니다.
셀트신 06.22 05:56 (211.241.***.212)
2020년 매출 18491억원/영업이익 7186억윈/순익 5257억.
2021년 매출 18934억원/영업이익 7442억원/순익 5958억원.
2022년 매출 22840억원/영업이익 6472억원/순익 5426억원.
2023년 매출 21764억원/영업이익 6515억원/순익
5397억원.
2024년 매출 35573억원/영업이익 4920억원/순익
4189억원.
2025년 1분기 매출 8419억원/영업이익 1494억원/
1083억원.

일부주주분들께서 셀트리온이 과거 몇년간 성장은 했는데, 공매도와 조작세력들로 인해 주가가 억눌려져 있다고 오판하시는듯 하여 실적데이터를 보여드립니다.
최근 5개년간 셀트리온은 매출은 성장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익은 확연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실수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산업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레드오션 현상 입니다. 코스피 3천에도 여전히 주가는 16만원이고 공매도가 셀트리온에 집중되는 이유입니다.
24년 합병이후에도 외형은 확장되었으나, 영익률개선은 일어나지 않고 있지요.
그래서 국내에서만 신약취급을 받던 짐펜트라의 실적을 기대했던것이었는데, 보기좋게 먹튀중이죠.
50~100배이상의 고per가 지속 용인받기 위해서는 영익률 30~35프로 이상으로 개선이 필수입니다. 올 1분기부터는 개선될꺼라 예상했지만, 영익률 17프로로 결국 어긋났습니다. 과연 2분기는 어떨까요?
승계가 무산되어도 혹은 속히 마무리되어도 셀트리온의 현 10프로대의 영익률로는 절대 주가가 오를수 없습니다.
tin8721 06.22 14:20 (106.101.***.228)
셀트신 굿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