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주총관련해서
란첸
2023/03/30 13:35 (118.235.***.204)
댓글 15개 조회 4,028 추천 57 반대 41
그냥 몇글자 적어 봅니다.하도 이상한 분들이 많은거 같아서...

우선 전 셀헬 셀트 2군데 주총 다 다녀왔구요.주총참석 목적은 더 이상 내가 흔들리면 정리하자 였습니다.그러니 다른 분께도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 왜 들고 가냐고 물었던 겁니다.전 기본적으로 시장수익률 하회종목은 나쁜 종목이라 생각합니다.여기 계신 분들처럼 성인군자가 아니라 아들이 회장이 되던 3자가되던 관심이 없습니다

제가 확인하고 싶었던 건 크게 2가지 였습니다.
1.렉키로나....안판건지 못판건지..
2.유플라이마,베그젤마,램시마sc 매출,가격경쟁력등등

1번은 솔직히 셀트리온 그룹의 능력을 의심받게된 가장 큰 계기라 생각합니다.근데 순 유추뿐이니 거론하지 않겠습니다.

2번중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매출관련
유플라이마,베그젤마는 이미 유럽은 열린 시장이란 겁니다.즉 후발주자인 상태로 출발하는거죠.제 기본적 생각은 유럽에서 못팔면 미국시장도 없다는 거죠.허주마 미국에서도 최저가인데도 죽쓰고 있습니다.전 유럽은 가격경쟁력,미국은 가격+pbm+사보험이란 복합 장애물이 있다고 생각해요.즉 가격경쟁력에서도 밀리면 미국에서 잘될 턱이 없다고 봅니다(허주마 최저가에 3분기 유럽23%로 증가 미국3%로 변동없죠).그래서 셀헬을 먼저 간거구요.회사 실적자료에는 기타로 똘똘말이 되어있으니 알길이 없었습니다.결론은 생각보다 잘나왔더군요.자세한 수치는 집에가서 책자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2번 가격경쟁력 관련
전 바이오시밀러 경쟁상대는 암젠이라고 봅니다 이제 셀트리온과 유사한 형태는 암젠밖에 안남았거든요.(사노피는...이제 cmo줘야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럼 암젠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겠느냐? 이에 대해 김형기 부회장은 이렇게 설명했습니다.1세대 바이오시밀러(램시마 허쥬마 트록시마)는 제품 개발후 원가절감을 하는 형태였고 2세대 바이오시밀러(유플라이마 베그젤마)는 처음 만들 때 부터 원가를 생각해서 만들었다.원가 낮다고 자신한다.

바이오시밀러 레드오션이라고 하죠.맞는 말인거 같습니다.요새 나오는 바이오 시밀러들 보면 3년내 대략 60%정도 가격이 떨어지더라구요.이 경향은 최근에 나왔을 수록,경쟁상대가 많을 수록 급하게 하락하더군요.휴미라 시장이 큰 만큼 경쟁상대도 많죠.암젠도 고농도 임상3단계입니다.거기다 암제비타는 pbm등재 확정적이죠.

직판과 신약은 가야만 하는 길 같습니다.그런데 셀트리온 대국민 사기기업이라 찍혔죠,체결강도 개판이죠,개미들은 2차전지,로봇,ai외에 관심없고 개관은 반도체 밀어줄 생각 같고...단기간 급격한 반등은 없을거 같습니다.그런데 믿지도 못하는데...고난의 길을 가시겠다구요?전 솔직히 여기 게시판 설치시는 분들 중 절반은 숏에 베팅한 분들 같아요.망하라고 기우제 지내시는거 보기도 싫고 이글을 마지막으로 저도 여기 안올 생각입니다.살다 오늘 사기꾼이라는 소리는 첨들어 봤네요.진짜 걱정되서 드린 말씀이었는데..대마가 물렸을 땐 미래가 없다고 생각되는 주식은 당장정리하는게 맞구요,미래가 있을거 같으면 울며 겨자 먹기로 평단 낮춰서 탈출할 수 밖에 없는게 이 바닥입니다.시간이 간다고 본전이 되진 않아요

그럼 이만..

P.s매출전망 너무 믿지 마세요.저거 맞추면 사업이 아니라 점쟁이 해야죠.그냥 희망사항이 저정도구나 정도로 이해하심이 멘탈 유지에 좋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adc2030 03.30 13:45 (61.77.***.168)
삼바 임릴디는 저농도로 유럽에서 2018년 3분기 출시
2019년 유럽 매출이 약 2100억
셀트 유플라이마 고농도로 2021년 3분기 유럽 출시
2022년 유럽 매출액 500억 이하
(서회장 주총때 유플라이마가 유럽에서 경쟁제품 대비 가장 빠르다? 알보텍등 셀트와 비슷한 시기에 진입한 고농도 경쟁제품대비 빠르다는거지, 과거 저농도시밀의 1년간 침투속도보다 굉장히 느린 상태)
이유는 유플라이마가 유럽에서 출시하니까, 고농도 오리지널과 저농도바이오시멀러가 가격을 낮췄다고 함.
즉. 트룩시마가 미국에서 계속 가격 인하를 하는게 룩시엔스도 원인이지만 후발주자인 암젠 제품을 견제하려는것과 비슷.
미국에서 램시마와 트룩시마의 판권 계약이 언제까지인지 모르겠지만, 이거 최대한 빨리 직판해야 함.
그렇지 않으면 후발주자 암젠 제품이 분명 따라 올거임.
그리고 유럽 트룩시마의 정유율이 낮아진 이유가(40=>23%) 산도즈의 재고처리로 가격 덤핑이 아닌, 산도즈가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공격적 가격인하가 원인아라고 함.
작성자 란첸 03.30 14:25 (118.235.***.204)
adc2030 헐..좋은 설명 감사합니다.이제 사노피...cmo줘야 한다네요.그리고 cmo 단가가 많이 높아졌데요(이는 삼바 영업이익률에서도 어느정도 유추가능하죠).하지만 계속 하락할 거 같습니다.바이오시밀러 자체가 오리지널보다 싸다가 무기이니..충격은 이미 최저가로 벅벅기고 있는 허셉틴도 fda에 신규 임상하는 애들도 있더라구요.
adc2030 03.30 14:34 (61.77.***.168)
란첸 작년 3분기에 완제CMO 문제로 램시마의 계획된 물량이 생산되지 못했다고 하는데, 가급적 CMO주지 말고 인수를 하던 진짜 뭔가 해결책이 필요한거 같네요. 미국에서 유플 SC 스텔라라등등 후속 제품들 계속 나오는 상황에서...
작성자 란첸 03.30 14:41 (118.235.***.204)
adc2030 ㅋㅋㅋ 그문제도 인식은 하고 있는거 같아요.dp여러 곳에서 한다고 했어요.램시마도 화이자에서는 계속 달라고 했다네요 말씀하신 dp 문제로 너희주면 다른데 못판다라고 했다함(믿거나 말거나 이지만).공장케퍼 부족은 사실같아요.근데 돈이 없으니...그리고 가파른 약가인하 때문에 섣불리 만들었다 재고되면..팔아도 적자같아요.그래서 신약하겠고 떠드는 거고....개인적으로 협업이 많은 것도 불안요소로 봐요.치매패치,진단키트2종...다 망했죠 ㅋㅋㅋ
adc2030 03.30 15:11 (61.77.***.168)
adc2030 서회장의 구라 하나 더...
싱가포르에서 자산운용사 30여개 만났는데, 포트폴리오 종목 반토막 나서 수익 많이 난 종목 매도한다고...3월 결산법인...
1월달부터 코스피 외국인 누적 순매수. 외국인은 1월부터 현재까지 셀트 누적 순매도. 특히 3월달에 폭풍 매도.
다른 대형주보다 셀트에서 얼마나 수익이 많이 나서 셀트만 매도?
30개 자산운용사 만났다는건 과대 포장이고, 결국 테마섹에서 셀트 매도중이라는 의미인듯 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