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셀외)요즘 누가 출신 따지나"…'불문율' 깬 대기업 젊은 오너들
셀주1
2022/04/14 23:58 (223.62.***.47)
댓글 0개 조회 1,766 추천 34 반대 0
대기업 경영진 '순혈주의' 깨졌다
경쟁사 CEO도 영입하는 젊은 오너들
15대 그룹 외부 출신 사장급 이상 37명
현대자동차 8명 중 6명, 삼성전자 20명 중 7명 '외부 영입'
"경직된 조직문화 타파"…3, 4세 젊은 오너들 인적쇄신 주도
국내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경영진에서 ‘순혈주의 파괴’ 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다. 각 그룹의 젊은 오너 3·4세가 경영 일선에 등장하면서 공채 출신 일변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등 인적 쇄신에 나선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한국경제신문이 자산 기준 상위 15개 그룹(농협 제외) 주요 계열사의 사장급(CEO 포함) 인사를 조사한 결과 공채가 아닌 외부 출신이 37명에 달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가 7명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자동차그룹과 두산그룹이 6명으로 뒤를 이었다. 신세계 롯데 CJ 등 유통·식품그룹도 외부 인사 출신 사장이 각각 3명에 달했다.
그룹 공채에 기반을 둔 연공서열과 순혈주의는 지금까지 국내 대기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조직문화였다. 고도 성장기엔 신속하고 일사불란한 의사결정을 앞세운 이 같은 조직문화가 국내 기업 성장에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거 성장 전략에 맞춰진 경직된 조직문화로는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이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경영 일선에 등장한 젊은 오너들이 순혈주의 타파를 내세우며 기업문화 혁신에 나서는 것도 이런 위기의식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http://naver.me/5pjkbS7l
경쟁사 CEO도 영입하는 젊은 오너들
15대 그룹 외부 출신 사장급 이상 37명
현대자동차 8명 중 6명, 삼성전자 20명 중 7명 '외부 영입'
"경직된 조직문화 타파"…3, 4세 젊은 오너들 인적쇄신 주도
국내 대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경영진에서 ‘순혈주의 파괴’ 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다. 각 그룹의 젊은 오너 3·4세가 경영 일선에 등장하면서 공채 출신 일변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등 인적 쇄신에 나선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한국경제신문이 자산 기준 상위 15개 그룹(농협 제외) 주요 계열사의 사장급(CEO 포함) 인사를 조사한 결과 공채가 아닌 외부 출신이 37명에 달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가 7명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자동차그룹과 두산그룹이 6명으로 뒤를 이었다. 신세계 롯데 CJ 등 유통·식품그룹도 외부 인사 출신 사장이 각각 3명에 달했다.
그룹 공채에 기반을 둔 연공서열과 순혈주의는 지금까지 국내 대기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조직문화였다. 고도 성장기엔 신속하고 일사불란한 의사결정을 앞세운 이 같은 조직문화가 국내 기업 성장에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거 성장 전략에 맞춰진 경직된 조직문화로는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이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경영 일선에 등장한 젊은 오너들이 순혈주의 타파를 내세우며 기업문화 혁신에 나서는 것도 이런 위기의식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http://naver.me/5pjkbS7l
셀주1
님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