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자가검사키트 '불티', '제2의 마스크 대란' 초래하나
셀트백두산
2022/01/26 04:20 (211.36.***.212)
댓글 0개 조회 2,533 추천 68 반대 2
https://news.v.daum.net/v/20220125102109490
유전자 증폭검사(PCR검사)를 못 받는다고 하니 자가검사(진단)키트를 찾는 사람들이 최근 늘었어요."
25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약국과 편의점의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A씨는 자가검사키트 판매에 대해 "처음에는 잘 안 팔려서 소량만 입고 했는데 요새는 확실히 찾는 사람들이 들었다. 1.5배 이상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근 약국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약사 B씨는 "요새 더 잘 팔리는 것은 맞다. 최근 뉴스를 보고 많이들 오신다"고 했고 또 다른 약사 C씨는 "요즘은 물량이 들어오면 다 나간다고 보면 된다. 미리 전화로 확인한 뒤 여러 개를 구매하는 경우도 많다"고 귀띔했다.
편의점도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 일주일(17~23일) CU의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자가검사키트 품귀 현상도 우려하고 있다. 대응체계 전환 전 미리 철저히 대비하지 않는다면 '제2의 마스크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자가검사키트 수요가 높아진 것은 정부가 오미크론 대응체계 일환으로 진단검사 체계를 전환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정확도가 높은 PCR검사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에 한해 실시하고 나머지는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로 우선 검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검사 방식 전환은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된 광주·전남·평택·안성에서 시행한 뒤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부터 전국으로 확대된다.
밀접접촉자와 60세 이상 고령층을 제외한 단순의심자는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PCR검사를 받을 수 있다. 문제는 기존역학조사가 잡아냈던 확진자들이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지 않고 신속항원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져 확진자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도 검사방식이 바뀌면서 전파가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24일) "검사체계를 전환하면 전파에 있어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고위험환자에 대한 조기진단과 치료는 계속 유지되지만 젊은층이나 위험도가 낮은 국민의 진단과 치료는 지금보다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증상, 경증 환자의 전파 확산도 수반된다"며 "반면 현재 PCR검사 역량은 하루 30만건의 여유가 있어 전환의 타이밍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전문가들도 검사방식 전환의 전국 확대는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진단검사 체계가 확진자 증가 억제 효과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전환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날 머니S와의 통화에서 "기존 PCR 검사 체계는 단순히 진단뿐 아니라 확진자 증가 억제 효과도 있다"며 "최대한 버틸 수 있는 만큼 버틴 뒤 전환하는 것이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유전자 증폭검사(PCR검사)를 못 받는다고 하니 자가검사(진단)키트를 찾는 사람들이 최근 늘었어요."
25일 머니S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약국과 편의점의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 A씨는 자가검사키트 판매에 대해 "처음에는 잘 안 팔려서 소량만 입고 했는데 요새는 확실히 찾는 사람들이 들었다. 1.5배 이상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근 약국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약사 B씨는 "요새 더 잘 팔리는 것은 맞다. 최근 뉴스를 보고 많이들 오신다"고 했고 또 다른 약사 C씨는 "요즘은 물량이 들어오면 다 나간다고 보면 된다. 미리 전화로 확인한 뒤 여러 개를 구매하는 경우도 많다"고 귀띔했다.
편의점도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 일주일(17~23일) CU의 자가검사키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자가검사키트 품귀 현상도 우려하고 있다. 대응체계 전환 전 미리 철저히 대비하지 않는다면 '제2의 마스크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자가검사키트 수요가 높아진 것은 정부가 오미크론 대응체계 일환으로 진단검사 체계를 전환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정확도가 높은 PCR검사는 60세 이상 고위험군에 한해 실시하고 나머지는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로 우선 검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검사 방식 전환은 오는 26일부터 오미크론이 우세종화된 광주·전남·평택·안성에서 시행한 뒤 이달 말 또는 다음달 초부터 전국으로 확대된다.
밀접접촉자와 60세 이상 고령층을 제외한 단순의심자는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와야 PCR검사를 받을 수 있다. 문제는 기존역학조사가 잡아냈던 확진자들이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지 않고 신속항원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져 확진자를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도 검사방식이 바뀌면서 전파가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24일) "검사체계를 전환하면 전파에 있어서 통제력이 약화되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고위험환자에 대한 조기진단과 치료는 계속 유지되지만 젊은층이나 위험도가 낮은 국민의 진단과 치료는 지금보다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증상, 경증 환자의 전파 확산도 수반된다"며 "반면 현재 PCR검사 역량은 하루 30만건의 여유가 있어 전환의 타이밍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전문가들도 검사방식 전환의 전국 확대는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진단검사 체계가 확진자 증가 억제 효과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전환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날 머니S와의 통화에서 "기존 PCR 검사 체계는 단순히 진단뿐 아니라 확진자 증가 억제 효과도 있다"며 "최대한 버틸 수 있는 만큼 버틴 뒤 전환하는 것이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셀트백두산
님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