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셀트리온, 미국특허청에 제약사 리제네론 특허 무효화 신청 ct-p42
채윤압쥐
2021/12/05 20:33 (223.39.***.20)
댓글 7개 조회 3,186 추천 51 반대 9
http://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262659
리제네론은 231번 특허가 ‘애플리버셉트를 포함하는 VEGF 길항제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제제 및 바이알에 관한 것(the '231 Patent concern formulations and vials containing VEGF antagonist fusion proteins, including aflibercept)’이라고 설명했다.
애플리버셉트는 리제네론이 개발한 성분이다. 바이엘의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 사노피아벤티스의 항암제 잘트랩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은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CT-P42를 개발하고 있다. CT-P42는 올해 2월 임상3상에 진입했다.
리제네론은 분기보고서에서 “등록 후 무효심판 절차는 미국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으며 방어 비용이 많이 든다”며 “그 결과가 우리에게 유리하다 해도 지적재산권을 시행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등록 후 무효심판과 관련해 “확인해주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
그리고 저번에 로그인이 안되서 코로나치로제 특허를 찾아봤었는데 식약처가 같이 등록되있더군요
얼마전 모더나와 미국정부 관계같은 케이스같다는생각..
걱정은 선심쓰듯.. 특허를 여기저기 풀까봐 걱정은되네요
질병이 사라지는데 일조하는건맞는데 회사측면에선 수입이 줄어들수도 있지 않을까요..
모더나 "백신 단독 발명" 美 정부와 특허 분쟁…"수급·가격에 영향“
모더나 "백신 단독 발명" 美 정부와 특허 분쟁…"수급·가격에 영향“
중앙일보 박현영 기자 2021.11.10.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중 하나인 일명 '모더나' 백신의 핵심 기술은 누가 개발했나.
모더나 백신 특허권 등록을 놓고 미 정부 산하 국립보건원(NIH)과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가 분쟁 중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모더나는 자사 소속 과학자들이 독자적으로 기술을 발명했다고 주장하고, NIH는 공동 개발을 주장하고 있다.
NIH가 공동 특허권자로 인정받을 경우 미 정부는 모더나와 협의 없이 백신 제조와 가격, 지식재산권 면제 등 백신에 관한 권리를 통제할 수 있게 돼 해외 백신 수급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NYT는 "모더나와 NIH는 코로나19 백신의 핵심 기술을 개발한 공로가 누구에게 있는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백신 유통과 수십억 달러 이익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갈등"이라고 전했다.
모더나와 NIH는 지난 4년간 협업해 지난해 말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양측 주장이 갈리는 지점은 누가 핵심 기술 발명에 기여했느냐는 점이다.
NIH는 소속 과학자인 존 매스콜라 박사, 바니 그레이엄 박사, 키즈메키아 코르벳 박사가 모더나 과학자들과 함께 백신이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자극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설계했고, 따라서 "주 특허 출원"에 이름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모더나는 지난 7월 특허를 출원하면서 NIH 과학자들을 배제한 채 자사 소속 과학자들 이름만 올렸다. 미 특허청에 제출한 문서에서 모더나는 NIH 과학자들을 가리켜 "이 사람들은 공동 발명(co-invent)하지 않았다"고 적었다고 고 NYT는 전했다.
특허청은 특허 자체에 대한 허가 여부만을 결정하기 때문에 결정 시점까지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미국 정부는 소송을 통한 해결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한다.
NIH가 특허권을 공동 소유할 경우 어디에서 백신을 제조할 것인가, 어느 나라가 먼저 공급받을 것인가 등에 있어 미국 정부가 더 많은 발언권을 갖게 된다. 또 백신 기술 라이언스를 내주는 데 거의 제약을 받지 않고, 수백만 달러의 정부 수입도 추가될 수 있다.
하도 어쩌다가 글 쓰면 공견이라고 차단을당해서..
지금도 글쓰고 걱정
리제네론은 231번 특허가 ‘애플리버셉트를 포함하는 VEGF 길항제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제제 및 바이알에 관한 것(the '231 Patent concern formulations and vials containing VEGF antagonist fusion proteins, including aflibercept)’이라고 설명했다.
애플리버셉트는 리제네론이 개발한 성분이다. 바이엘의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 사노피아벤티스의 항암제 잘트랩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은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CT-P42를 개발하고 있다. CT-P42는 올해 2월 임상3상에 진입했다.
리제네론은 분기보고서에서 “등록 후 무효심판 절차는 미국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으며 방어 비용이 많이 든다”며 “그 결과가 우리에게 유리하다 해도 지적재산권을 시행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등록 후 무효심판과 관련해 “확인해주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
그리고 저번에 로그인이 안되서 코로나치로제 특허를 찾아봤었는데 식약처가 같이 등록되있더군요
얼마전 모더나와 미국정부 관계같은 케이스같다는생각..
걱정은 선심쓰듯.. 특허를 여기저기 풀까봐 걱정은되네요
질병이 사라지는데 일조하는건맞는데 회사측면에선 수입이 줄어들수도 있지 않을까요..
모더나 "백신 단독 발명" 美 정부와 특허 분쟁…"수급·가격에 영향“
모더나 "백신 단독 발명" 美 정부와 특허 분쟁…"수급·가격에 영향“
중앙일보 박현영 기자 2021.11.10.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중 하나인 일명 '모더나' 백신의 핵심 기술은 누가 개발했나.
모더나 백신 특허권 등록을 놓고 미 정부 산하 국립보건원(NIH)과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가 분쟁 중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모더나는 자사 소속 과학자들이 독자적으로 기술을 발명했다고 주장하고, NIH는 공동 개발을 주장하고 있다.
NIH가 공동 특허권자로 인정받을 경우 미 정부는 모더나와 협의 없이 백신 제조와 가격, 지식재산권 면제 등 백신에 관한 권리를 통제할 수 있게 돼 해외 백신 수급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NYT는 "모더나와 NIH는 코로나19 백신의 핵심 기술을 개발한 공로가 누구에게 있는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백신 유통과 수십억 달러 이익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갈등"이라고 전했다.
모더나와 NIH는 지난 4년간 협업해 지난해 말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 이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양측 주장이 갈리는 지점은 누가 핵심 기술 발명에 기여했느냐는 점이다.
NIH는 소속 과학자인 존 매스콜라 박사, 바니 그레이엄 박사, 키즈메키아 코르벳 박사가 모더나 과학자들과 함께 백신이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자극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설계했고, 따라서 "주 특허 출원"에 이름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모더나는 지난 7월 특허를 출원하면서 NIH 과학자들을 배제한 채 자사 소속 과학자들 이름만 올렸다. 미 특허청에 제출한 문서에서 모더나는 NIH 과학자들을 가리켜 "이 사람들은 공동 발명(co-invent)하지 않았다"고 적었다고 고 NYT는 전했다.
특허청은 특허 자체에 대한 허가 여부만을 결정하기 때문에 결정 시점까지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미국 정부는 소송을 통한 해결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한다.
NIH가 특허권을 공동 소유할 경우 어디에서 백신을 제조할 것인가, 어느 나라가 먼저 공급받을 것인가 등에 있어 미국 정부가 더 많은 발언권을 갖게 된다. 또 백신 기술 라이언스를 내주는 데 거의 제약을 받지 않고, 수백만 달러의 정부 수입도 추가될 수 있다.
하도 어쩌다가 글 쓰면 공견이라고 차단을당해서..
지금도 글쓰고 걱정
채윤압쥐
님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cellsurvey 12.05 20:40 (175.195.***.212)
제목에서 CT-P43을 CT-P42로 수정해야겠네요. CT-P43은 스텔라라 시밀러입니다.
작성자 채윤압쥐 12.05 20:42 (223.39.***.20)
cellsurvey 죄송합니다.. 안경안쓰면 겹쳐보여서 ..�� 수정했습니다
작성자 채윤압쥐 12.05 20:43 (223.39.***.20)
그런데 반대는 왜이리많은건가요? 정말공견들인가?
셀트는왕이다 12.06 06:25 (211.36.***.44)
채윤압쥐 옛날꺼 계속가져오니 반대하는 듯. 언제껀데 이제가져와서는...
작성자 채윤압쥐 12.06 08:45 (1.236.***.89)
셀트는왕이다 어떤게 옛날꺼라는건가요? 기사를 속보보듯 바로바로봐야만 주주취급하나봐요?
- 이전글
- 렉키로나주 투약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이전글
- 개미들 미워하는 공매도, 각 대선주자들의 해법은?
- 다음글
- 이제 주말이 끝나가네요
- 다음글
- 이제 다 싸웠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