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충무공 이순신의 명언들
“신에게는 아직 13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今臣戰船 尙有十三)
칠천량해전 이후 충무공이 다시 통제사 재임명 교서를 받고 수군을 재정비한 결과 전선 13척에 군사 120명이 다였다.
그러자 "수군을 폐하고 육전에 참가하라"는 임금의 밀지가 떨어졌고, 충무공은 수군을 없애서는 안 된다고 조정에 강력히 건의한다.
“가벼이 움직이지 말라. 침착하게 태산같이 무거이 행동하라.” (勿令妄動 靜重如山)
1592년 5월 7일. 임진왜란 중 처음으로 출전한 옥포해전을 앞두고, 경상좌우도 수군과 육군의 패배 소식으로 긴장하고
당황한 군사들에게. 공포심과 전쟁경험 부족을 극복하고 전장에서의 여유와 냉철함을 가지라며.)
“싸움에 있어 죽고자 하면 반드시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必生卽死 死必卽生)
왜선 133척을 전선 13척으로 싸워야 하는 명량해전을 앞두고, 9월 15일 전투력의 절대 열세를 정신력으로 극복하기 위해,
장수들의 전투의지 분발과 '결사구국'의 각오를 나타내며.
“안 된다. 절대로 안 된다. 아무리 좌수사의 명령이라 하더라도 나라의 물건을 마음대로 자를 수 는 없다.”
전라 좌수사가 객사에 사람을 보내어 거문고를 만들 오동나무를 찍어 오라고
고흥지방의 만호인 이순신에게 청하자 이렇게 말하고 거절했다고 한다.
“장부가 세상에 나서 쓰일진대, 목숨을 다해 충성 을 바칠 것이요,
만일 쓰이지 않으면 물러가 밭가는 농부가 된다 해도 또한 족할 것이다.”
1545∼1598 조선 중기 무신. 발포수군만호를 거쳐 건원보권관·훈련원참군 등을 지내고 사복시주부로 활약 임진왜란 발발중
1598년 노량해전에서 명나라 제독 진인(陳璘)의 수군과 연합작전을 펴던 도중 유탄에 맞아 전사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마라.."
생과 인연을 끊기 1분전...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몰락한 역적의 가문에서 태어나 가난 때문에 외갓집에서 자라났다
머리가 나쁘다 말하지 마라
나는 첫 시험에서 낙방하고 서른 둘의 늦은 나이에 겨우 과거에 급제했다
좋은 직위가 아니라고 불평하지 말라
나는 14년 동안 변방 오지의 말단 수비장교로 돌았다
윗사람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불의한 직속 상관들과의 불화로 몇 차례나 파면과 불이익을 받았다
몸이 약하다고 고민 하지 마라
나는 평생동안 고질적인 위장병과 전염병으로 고통 받았다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불평하지 말라
나는 적군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진 후 마흔 일곱에 제독이 되었다
조직의 지원이 없다고 실망하지 마라
나는 스스로 논밭을 갈아 군자금을 만들었고 스물 세 번 싸워 스물 세 번 이겼다
윗사람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불만 갖지 말라
나는 끊임 없는 임금의 오해와 의심으로 모든 공을 뺏긴 채 옥살이를 해야 했다
자본이 없다고 절망하지 말라
나는 빈손으로 돌아온 전쟁터에서 열 두 척의 낡은 배로 133척의 적을 막았다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족을 사랑한다 말하지 말라
나는 스무 살의 아들을 적의 칼날에 잃었고 또 다른 아들들과 함께 전쟁터로 나섰다
죽음이 두렵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적들이 물러가는 마지막 전투에서 스스로 죽음을 택했다
(싼타선물 기다리며 반공일 사무실에서 13년의기다림올림)
난 눈탱이 서너번 빠졌당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