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올해 11월까지 한국 화장품 수출이 93억 달러(잠정)로 집계됐다. 역대 최고 수출액이었던 2021년 전체 수출액 92억 달러를 넘어서며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12월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 수출은 지난 9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14년 18억 달러였던 화장품 수출액은 2017년 49억 달러, 2020년 76억 달러, 2023년 85억 달러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올해 10월에는 한 달 동안 10억 달러 이상 수출 실적을 보이기도 했다.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 가격으로 미국, 일본 등 현지 맞춤형 제품을 개발한 업계의 노력과 규제혁신과 글로벌 규제조화 등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 노력 등이 화장품 수출을 견인했다는 게 식약처 측 설명이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 소셜미디어를 통한 'K-콘텐츠' 확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이날 화장품 제조업체인 한국 콜마 종합기술원에서 중소 수출업체 등과 간담회를 열었다. 수출 활성화를 위한 그간 업계의 노력을 격려하고 중소 수출업체 규제 애로사항을 듣는다. 화장품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도 논의한다.
오 식약처장은 "올해가 아직 한 달이 남은 시점에서 역대 최대 수출액 달성이라는 기록을 세운 우리 화장품 업계의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국가 간 협력 채널을 강화하고 합리적 규제 개선으로 혁신 제품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화장품 업종의 주가가 부진을 보이고 있으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내년 상승 모멘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월18일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화장품 업종은 글로벌 수출 호조와 내수 회복에도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이는 기업 실적과 매크로 경제 환경, 주요 시장 성장 둔화 등 복합적 요인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올해 3분기 화장품 기업들의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약간 하회했으나, 주가는 이를 과도하게 반영하며 하락했다. 이는 높은 시장 기대치에 대한 실망감과 관세 인상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트럼프의 10% 관세 공약은 ‘K-뷰티’의 마진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이 연구원은 전했다. 그는 “3분기 미국 시장 매출 성장 둔화는 선케어 제품의 계절적 수요 감소와 제조사 개발 생산(ODM) 업체의 비수기 영향이 주원인”이라며 “이러한 둔화는 계절적 패턴으로 볼 수 있으나, 시장은 이를 성장 정체의 신호로 과도하게 해석했다”고 전했다.
한국 화장품 수출은 북미와 유럽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환율 변동과 수출 채널별 수익성 차이로 인해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형주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각각 중국 시장 구조조정과 고가 화장품 판매 부진으로 실적 부진을 경험하고 있다고 이 연구원은 강조했다.
다만, 화장품 업종의 현재 밸류에이션은 글로벌 동종 업계 대비 저평가된 상태로, 장기 투자자에게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ODM사의 2025년 예상 성장률은 20% 이상으로 전망되며, 유통망 확대와 재고 관리 단위(SKU) 증가 전략이 매출 다각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 화장품은 글로벌 플랫폼과 새로운 수출 루트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ODM 시장의 연평균 20% 성장이 예상되며, 글로벌 대형사의 ODM 비중 확대는 코스맥스 등 주요 ODM 기업의 장기적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결론은 화장품 업종은 단기적인 시장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화장품 관련 종목들이 장 초반 강세다.
10월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48분 기준 한국화장품제조(003350)는 전 거래일 대비 10.71% 오른 8만6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화장품(123690)제조는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면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제조자개발생산(ODM) 사업을 통해 다양한 채널로 제품을 공급하며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최근 K뷰티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화장품 종목에 강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하반기 실적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지난달 중국 경기 부양책까지 나오지 수혜 기대감도 커진 상황이다.
이밖에 진코스텍(4.63%), 디와이디(219550)(3.50%), 뷰티스킨(3.42%), 한국화장품(3.19%), 코스맥스(192820)(2.93%), 실리콘투(257720)(2.87%) 등 화장품 관련 종목들이 대거 상승세를 타고 있다.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82.2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71.17% 증가. 영업이익은 93.61억으로 243.90% 증가. 당기순이익은 73.18억으로 282.14% 증가.
연결기준 올 3분기 누적매출액은 1314.7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8.68% 증가. 영업이익은 226.71억으로 204.55% 증가. 당기순이익은 184.35억으로 174.78% 증가.
국내 화장품주들이 중국 은행 지급준비율(RRR·지준율) 인하 영향으로 내수 부양 기대감이 커지면서 9월27일 일제히 강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5분 기준 코스맥스는 전장보다 8.93%(1만1600원) 오른 14만1500원에 거래 중이며, LG생활건강(5.63%), 아모레퍼시픽(3.68%), 한국화장품제조(2.27%), 토니모리(2.05%), 아모레G(2.35%), 한국콜마(1.20%) 등도 일제히 오름세다.
화장품주의 급등은 앞서 25일 중국이 은행 지급준비율(RRR·지준율) 0.5% 인하를 비롯한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발표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시장에 장기 유동성 1조 위안(약 190조 원)을 제공하고 정책금리를 현재 1.7%에서 1.5%로 인하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에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화장품 수출 매출액도 증가할 것으로 본 투자자들이 대거 매수세를 펼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날 중국 경기 부양책으로 중국 법인의 실적 개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고 코스맥스의 주가가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1분기 호실적을 거둔 화장품주가 5월16일 대거 급등했다. 이날 한국화장품제조[003350]는 가격제한폭으로서 전날 대비 8천450원(29.91%) 오른 3만6천700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계열사인 한국화장품 역시 2천280원(30%) 오른 9천88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이들 화장품주 2개뿐이었다.
잇츠한불[226320]과 제이준코스메틱[025620]도 각각 11.58%, 8.62% 급등했다.
지난 14일 한국화장품제조는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51억원, 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98%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잇츠한불도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359억원, 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168.4%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업계에서는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수출국 다변화로 인해 화장품 업황 개선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중국 총판 및 유통사가 보유한 화장품 재고 수준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글로벌 기업의 도매 매출이 발생하고 일부 업체의 어닝 서프라이즈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분기에는 1분기 도매 매출이 본격적으로 소매 매출로 이어질 것"이라며 "2분기 중국 화장품 산업은 시장 우려보다는 양호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093.38억으로 전년대비 5.26% 증가. 영업이익은 90.25억으로 109.01% 증가. 당기순이익은 72.81억으로 80.54% 증가.
한국화장품의 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화장품제조 전문업체.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등을 생산. 기존 한국화장품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외부 화장품 업체의 제품을 생산하는 OEM 및 ODM 사업도 진행중. 최대주주는 임충헌 외(46.71%).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038.77억으로 전년대비 53.19% 증가. 영업이익은 43.18억으로 7.71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0.33억으로 12.02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1998년 6월17일 722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15년 4월28일 641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2022년 10월31일 17450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올 9월3일 894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2월2일 4220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과 고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456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475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523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575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