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씨케이솔루션(480370)저점에선 매수 시점을 노려볼 수 있을듯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
개미신사
2025/03/24 18:57 (114.200.***.187)
댓글 0개 조회 237 추천 0 반대 0



씨케이솔루션이 LG에너지솔루션 1000억원 수주에 이어 추가 수주가 쇄도하고 있다고 3월18일 밝혔다. 

씨케이솔루션은 단일 최대수주인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LG 에너지솔루션&Stellantis 합작공장의 열류배관, 열배기덕트를 수행중에 있다. 추가적으로 미국조지아주의 현대차&LG 에너지솔루션 합작법인의 포메이션 빌딩(Formation Building)의 메카니칼(Mechanical) 공종을 약 1,000억원에 수주했다. 회사측은 인디애나주의 삼성SDI & Stellantis 합작법인의 메카니칼(Mechanical) 공종을 수행 중이며 고객사로부터 지속적인 공사 확장을 요청 받아 추가 수주 및 수의계약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경우 당사에서 한국업체 최초로 배관공사의 TSSA 인증, CSA 인증을 득하여 현지 업체와 견주어 경쟁력 있는 금액으로 고객사에서 지속적인 추가 공사 진행 요청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증시에 신규 입성한 이차전지 드라이룸 전문기업 씨케이솔루션이 전 세계1위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는 니치야스(Nichias)와 기술협력을 통해 전고체용 제습로터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특히 씨케이솔루션이 니치야스를 통해 국내 배터리3사에 우선 판매하는 계약을 맺은 사실이 조명되며 본격적인 공급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3월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씨케이솔루션은 세계 1위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는 니치야스(Nichias) 제습로터를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확보해 드라이룸 시스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이와 함께 니치야스와 기술 협력을 통해 전고체용 제습로터(초절전·초저습)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양산에 적용 중이다.씨케이솔루션은 산업용 클린룸부터 바이오 클린룸, 데이터센터 공조에 이르기까지 고난도 제습과 고청정도 기술이 요구되는 첨단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반도체용 클린룸 사업에서 확장한 다른 경쟁사와 달리, 설립 초기부터 드라이룸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며 국산화를 이끌어냈다.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뿌 아니라 스텔란티스, GM, 현대차, 포스코, 한화 등과도 국내외 직접투자나 조인트벤처 형태로 협업을 하고 있다.김유곤 씨케이솔루션 부회장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핸드폰 배터리 공정이 주요 타깃이던 설립 초기부터 드라이룸에 집중하며 기술적인 면에서 경쟁사와 격차를 쌓아왔다"고 말했다.또한 "드라이룸과 클린룸 관련 기술특허 23개를 보유하고 있고, 2차전지용 드라이룸의 핵심부품인 '로터'는 세계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일본 니치아스로부터 배터리 3사에 우선적으로 판매하는 계약을 맺어 공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국내에서도 전고체배터리 양산과 구축에 배터리3사가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삼성SDI를 필두로 다른 국내 주요 배터리사들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연내에 구축하고 올해 양산 기술을 어느 정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상용화는 2030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엔 전고체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10배 높이는 기술 개발에도 성공했다.앞서 삼성SDI는 2023년 3월부터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같은 해 6월부터 시제품을 생산했다. 셀 용량을 2배로 늘리고, 부피 에너지 밀도를 25% 높이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증권가에선 이번 유상증자에 대해 "2027년 하반기로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 일정을 제시한 상황에서 양산 가시성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SK온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 형태인 '고분자계 산화물 전고체 배터리(반고체 배터리)'를 조기에 개발해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안전성과 성능 측면에선 전고체 배터리가 뛰어날 수 있지만, 반고체 배터리는 제조 공정이 기존 리튬 배터리와 유사해 공정 설비와 소재의 변경이 적어 상용화 시기가 빠를 수 있다. 가격 경쟁력도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전고체 배터리는 2028년 시제품 생산을 목표로 한다.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글로벌 시장은 2022년 2750만달러(약 395억원)에서 2030년 400억달러(약 57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달 17일 코스피 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한 씨케이솔루션은 앞서 진행한 기관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희망밴드(1만3500~1만5000) 상단인 1만5000원으로 확정했다.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1640억 원 수준이다. 일반투자자 청약은 1320.6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청약증거금은 약 3조 7144억 원으로 높은 청약 열기를 기록했다.2004년 설립된 씨케이솔루션은 이차전지 드라이룸 시스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 외에도 액침 냉각 기술을 활용한 냉동공조 분야와 클린룸에서 경쟁력을 구축하며 데이터센터, 방산, 반도체, 바이오/제약 등 다양한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김유곤 부회장은 "앞으로도 이차전지 드라이룸 시스템 등 냉동공조 분야를 선도하며, 다양한 산업의 고도화 흐름에 맞춰 시장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되겠다"고 역설했다. 



씨케이솔루션이 삼성이 공조 부분에 대한 대형 M&A를 추진하겠다는 소식과 함께 국내 공조 부분 절대강자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삼성은 차세대 먹거리로 공조분야를 손꼽고 있으며, 최근 고위 임원진들의 입을 통해 대규모 M&A를 추진하겠다는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3월18일 씨케이솔루션에 따르면  아산시 영인면 신화리에 11,132m2에 해당하는 면적을 매입 완료한 가운데 2025년도에 하반기에 제조시설을 준공할 예정이다. 씨케이솔루션의 매출의 대부분은 2차전지 관련 사업에서 창출되며, 2024년 3분기 기준 92%를차지합니다. 주요 고객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으로 구성돼 있다. 주요 목표 시장은 2차전지 드라이룸, 반도체/디스플레이 클린룸, 바이오클린룸로 나뉠수 있다. 2차전지 드라이룸의 주 고객은 국내 3사 배터리 제조회사로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이있으며, 반도체/디스플레이 클린룸의 경우 LG디스플레이로, 국내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베트남, 남미 멕시코 지역에도 향후 수주 목표를 잡고 있다.이를 위해 신축 제조시설에서는 핵심 장비인 공조 장비(AHU, BCU, DHU), 덕트 제작, 배관 제작을 하고, 제작된 자재 보관 창고로도 함께 사용할 예정이다. 현장에서 시공이 어려운 작업이 가능해지며 기존 임대 부지를 통해 진행했던 업무로 제조시설을 설립함으로써 임대 비용과 외주 비용 (물류비 등)이줄어들고, 대출 비용이 감소함으로써 유연한 인력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회사측은 전망하고 있다. 특히 향후 각광 받는 데이터 센터(IDC)에서도 주요 품목으로는 냉동기, 냉각탑, 펌프류, 전산실용 항온항습기, 발전기, 빙축/수축열SYS 등의 각종 장비류와 배관재, 기류 순환을 위한 공조 및 환기용 덕트 자재 그리고 전산실 내외에 각각 소화설비 등을 납품할 계획이다. 이 사업부문에서는 주로 LG전자, LG U+, 자이씨앤에이 등의 고객사와 업무를 진행중에 있으며 향후 예정된 데이터 센터의 건설 계정 정보에 따라 발주처 및 시공사와 접촉하여 수주관련정보 획득 및 입찰 참여함으로써 신규 영업선을 발굴해내 가고 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57.73억으로 전년대비 37.38% 증가. 영업이익은 165.24억으로 6.47% 감소. 당기순이익은 198.13억으로 31.24% 증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52.98억으로 전년대비 20.10% 감소. 영업이익은 176.67억으로 28.56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50.97억으로 31.37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차전지 드라이룸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제습기(Dehumidifier) 및 로터, 항온항습기, 공기조화기, 송풍기 필터 유닛(Blower Filter Unit), By-pass Cooling Unit(BCU), 에어샤워 등이 있음. 이 외 바이오 드라이룸/클린룸, 반도체/디스플레이 클린룸 등의 사업을 영위. 매출 대부분은 2차전지 관련 사업에서 창출되며, 주요 고객으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임. 최대주주는 김유곤 외(59.61%), 주요주주는 NH프린시플사모투자(19.57%).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94.63억으로 전년대비 57.07% 증가. 영업이익은 28.56억 적자로 6.64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1.37억 적자로 0.53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3월17일 상장, 당일 28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시점을 노려볼 수 있읃읏 보여 집니다.


손절점은 144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5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6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81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미신사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