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와이엠텍의 주가가 주식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캑터스 프라이빗에쿼티(PE)가 바이아웃 펀드를 조성해 EV 릴레이 전문기업 와이엠텍을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올 1월21일 주식시장과 언론보도에 따르면 캑터스 PE는 와이엠텍의 최대주주인 김홍기 대표이사가 보유한 지분 40.60%와 김종오 부사장의 지분 7.35%를 포함해 약 48% 지분을 인수할 계획이다.
IB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캑터스 PE가 와이엠텍 최대주주 등과 지분 매입건을 논의해 왔고 연초 인수건을 마무리 지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차전지 시장이 위축돼 있어 오히려 인수합병 적기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와이엠텍의 밸류에이션은 지난해 M&A 협상 당시 약 2000억원으로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가총액 1200억원대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두 배 정도로 평가한 셈이다.
와이엠텍은 전기차 충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EV 릴레이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릴레이는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핵심 부품으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의 장기화로 이차전지 산업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회사의 실적은 감소세다.
공시에 따르면, 회사의 2022년 매출액은 492억원에서 2023년에는 348억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222억원에 그쳤다.
업계에서는 캑터스 PE가 EV 릴레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쌍용자동차(현 KG모빌리티)와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려는 의도로 와이엠텍을 인수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에 설립된 캑터스PE는 KG그룹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빠르게 성장해왔다. 지난 2022년 KG그룹이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캑터스PE가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해 회사에 직접 자금을 투입했다.2019년에도 캑터스PE와 KG그룹이 함께 동부제철(현 KG스틸)을 인수해 성공적으로 턴어라운드(실적 및 재무구조 개선)을 이끌어낸 저력이 있다.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며 와이엠텍에 투자자들의 매수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모습이다.
와이엠텍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작년 11월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5.96% 올라 1만 13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와이엠텍이 에너지 저장장치(ESS),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에 사용되는 직류 고전압 EV Relay를 주력으로 생산하며, 관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전압 EV Relay 외에도 저전압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동차, 정류기, 조명제어 등에 활용되는 DC Relay 및 Latch Relay를 생산하여,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다양한 직류 전력 제어용 릴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고전압 EV Relay는 전기 자동차(EV)에서 배터리와 모터 사이를 연결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핵심 부품이다. 마치 전기 스위치처럼 작동하지만, 일반적인 스위치와는 달리 고전압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와이엠텍은 동종 기술 선도국인 일본, 미국 업체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며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
전기차, ESS 등 미래 에너지 시장의 성장과 함께 와이엠텍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3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72.2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93% 감소. 영업이익은 12.48억으로 8.81% 증가. 당기순이익은 10.28억으로 23.28% 감소.
개별기준 작년 3분기 누적매출액은 222.77억으로 21.36% 감소. 영업이익은 31.15억으로 47.91% 감소. 당기순이익은 35.02억으로 42.19% 감소.
와이엠텍이 강세다. 전기차 열폭주 배터리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 고전압 릴레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8월13일 업계에 따르면 와이엠텍은 2004년 설립된 EV 릴레이 전문 기업으로, EV 릴레이는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 장치다.ESS, UPS(무정전전원장치), 전기차 충전기 등 2차전지의 직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모든 산업에 적용된다. 쉽게 말해 태양광으로 발전을 한 전기를 ESS로 보낼 때 과충전이 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데 과충전 전에 전기를 끊어주는 스위치다. 방전할 때도 마찬가지다. 배터리 용량의 60% 이상이 방전되면 더 이상 배터리를 쓰지 못하는데 과방전을 막는 역할도 한다.그 동안 EV 릴레이는 수입산이 대부분이었다. 와이엠텍은 이를 국산화하며 상장 도전까지 나섰다. 와이엠텍은 △가스절연 기밀 기술 △양방향 아크 차단 기술 △피드백 접점을 통한 주접점 감시 기술 △대용량 제품의 설계 기술 등 4대 원천기술을 보유 중으로 현재 국내 3대 2차전지 제조사를 비롯해 전세계 21개국 350개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와이엠텍의 투자 포인트는 릴레이 분야의 뛰어난 기술력과 이에 따른 높은 영업이익률"이라며 "와이엠텍은 전류의 방향과 상관없이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양방향 고전압 릴레이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금일 장중 와이엠텍이 상승세다. 이는 최근 삼성SDI가 미국 대형 전력기업과 약 1조원 규모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프로젝트를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주들이 반등하는 가운데 국내 최초로 EV릴레이 국산화에 성공한 사실이 부각되며 향후 수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7월10일 11시46분 현재 와이엠텍은 코스닥시장에서 전 거래일 대비 6.33% 상승한 1만4790원에 거래되고 있다.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넥스트에라에너지와 ESS용 배터리 납품 계약을 논의하고 있다. 공급 규모는 6.3기가와트시(GWh), 금액은 1조원 수준으로 전해졌다. 삼성SDI가 이를 수주하면 국내 기업이 수주한 물량 중 사상 최대가 된다. 주력 제품은 값비싼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 셀을 적용한 '삼성배터리박스(SBB) 1.5'다.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셀을 넣는 식으로 기존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를 37% 높인 게 특징이다.와이엠텍은 국내 최초로 EV릴레이 국산화에 성공한 업체다. 릴레이란 배터리 내부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부품이다. EV릴레이는 배터리를 활용하는 모든 산업에 적용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에 더욱 각광받고 있다. 전기차 외에 에너지저장장치(ESS)와 2차전지, 태양광 시장에서도 활용된다. 해당 제품은 현재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대기업에 공급 중이다. 와이엠텍 전체 매출에서 EV릴레이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92.44%에 달한다.한편 삼성SDI에 ESS 관련 부품들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진 한중엔시에스(107640)와 신성에스티(416180)도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차, ESS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력제어용 핵심부품인 EV Relay(스위치(개폐) 장치) 전문업체. 에너지 저장장치(ESS), 전기차,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에 적용되는 직류 고전압 EVRelay를 주력 제품으로 하고 있으며, 저전압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동차, 정류기, 조명제어 등에 활용되는 DC Relay 및 Latch Relay도 공급 중. 이 외 특수 산업인 국방용 미사일, 전함 등에 적용되는 직류 전력제어 장치에도 Relay 제품을 공급. 주요 매출처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및 SK시그넷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김홍기 외(55.06%).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492.93억으로 전년대비 64.15% 증가. 영업이익은 148.89억으로 113.83% 증가. 당기순이익은 127.28억으로 97.43% 증가.
작년 11월15일 982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올 1월21일 14290원에서 고점을 찍고 긴 윗꼬릴 달며 밀리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관점이 가능할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133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18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3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4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