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파두(440110)는 국내 반도체 제조사와 31억4497만1880원 규모의 기업용 SSD 컨트롤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0월28일 공시했다. 매출액 대비 14.00%다. 계약기간은 이날부터 2025년 4월9일까지다.
지난해 상장 당시 반도체 경기 하락으로 실적이 악화했던 팹리스 기업 파두가 세계적인 기업들을 고객사로 유치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10월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파두는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와 세계 최대 서버제조사 델, SK하이닉스 및 웨스턴디지털 등에 자사의 기업용 SSD 컨트롤러를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에는 파두의 고객사인 웨스턴디지털이 5세대 기업용 SSD 제품 ‘DC SN861 E.1S’가 엔비디아의 블랙웰 기반 서버 솔루션 ‘GB200 NVL72’ 사용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제품에도 파두의 5세대 컨트롤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의 엔비디아향 매출이 늘어남에 따라 파두의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웨스턴디지털의 엔비디아 제품 인증에는 파두의 SSD컨트롤러 기술도 기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8월에도 파두는 글로벌 서버 제조사의 구매 대행사로부터 26억원 규모 기업용 SSD를 수주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파두가 납품하기로 한 글로벌 서버 제조사는 델로 추정된다.
이로써 파두는 메타, 델에 이어 엔비디아까지 까다롭기로 유명한 해외 기업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국내 스타트업으로서는 드문 사례다.
회사의 기술력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파두는 올해 들어서만 총 360억원이 넘는 신규 수주를 달성했다. 신규 수주 물량으로만 지난해 연간 달성한 매출액 224억원을 크게 뛰어넘었다.
이에 따라 주가도 탄력을 받고 있다. 지난 9월 9일 1만1420원으로 바닥을 찍었던 파두 주가는 실적 개선과 매출 확대에 대한 기대가 반영돼 17일 종가 기준 1만 9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역시 6000억원대에서 9700억원대로 크게 상승했다.
미국의 반도체 회사 웨스턴 디지털이 자사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제품군인 ‘4TB 및 8TB DC SN861 SSD’가 엔비디아 GB200 NVL72 랙 규모 시스템 인증을 받았다고10월 15일 발표했다.
올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4.24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6.83% 감소. 영업이익은 384.13억 적자로 195.89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369.29억 적자로 193.6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4.71억으로 전년대비 60.16% 감소. 영업이익은 585.69억 적자로 15.07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68.33억 적자로 2274.60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데이터센터에 특화된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기업용 SSD 컨트롤러(PCIe Gen3 NVMe SSD 컨트롤러, PCIe Gen4 NVMe SSD 컨트롤러, PCIe Gen5 NVMe SSD 컨트롤러), 기업용 SSD 완제품(PCIe Gen3 NVMe SSD(Bravo), PCIe Gen4 NVMe SSD(Delta), PCIe Gen5 NVMe SSD(Echo)) 등이 있음.최대주주는 남이현 외(27.66%), 주요주주는 알피씨포워드(8.47%).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4.02억으로 전년대비 993.70% 증가. 영업이익은 15.07억으로 336.74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274.60억 적자로 433.4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올 9월9일 1142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10월25일 237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70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7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9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14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
- 2025.07.25 11:02 에이블씨엔씨(078520)저점을 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7.25 10:29 이닉스(452400)저점에선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7.25 09:35 더즌(46286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7.25 09:29 미투온(20149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025.07.25 09:10 코세스(08989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