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머스크 "스타링크, 사우디 내 항공기·선박에 위성인터넷 제공"
2025/05/14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스타링크(Starlink) 일부 사용 허가를 취득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동 방문에 미 주요 기업 CEO로서 동행 중인 머스크는 이날 개최된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로부터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을 승인받았다고 전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가 소유한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다. 이번 승인으로 스타링크는 사우디 내 항공기나 선박에 위성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자세히보기]
반도체장비 부품 제조 및 세정/코팅 전문업체
+14.23%
+5.87%
첨단 방산전자 시스템 전문업체
+5.46%
방산물자의 개발, 제조, 정비 및 판매업체
+4.38%
통신장비 제조업체
+2.67%
철도차량 제조 및 제철소 등 플랜트 공사업체
+2.34%
방산장비, 에너지장비 제조 및 보안솔루션 제공업체
+2.31%
국내 유일의 항공우주업체
+1.46%
특수강 생산 및 유통업체
+0.87%
전력산업용 차단기, 개폐기 및 플라즈마 제조업체
+0.66%
이슈 관련 히스토리
2025/05/14
머스크 "스타링크, 사우디 내 항공기·선박에 위성인터넷 제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스타링크(Starlink) 일부 사용 허가를 취득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동 방문에 미 주요 기업 CEO로서 동행 중인 머스크는 이날 개최된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로부터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을 승인받았다고 전했다. 스타링크는 머스크가 소유한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다. 이번 승인으로 스타링크는 사우디 내 항공기나 선박에 위성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자세히보기]
2025/05/12
李 "우주항공방위산업 강국 만들 것…경남, 우주항공 중심지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10일 "대한민국을 우주·항공·방위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우주·항공·방위 산업 정책 발표문'에서 "우주·항공·방위산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첨단 미래 산업의 대표 핵심 산업"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자세히보기]
2025/05/02
LIG넥스원, 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3200억원 규모
우리나라 세 번째 기상위성이자 첫 민간주관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위성 5호'의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LIG넥스원은 기상청, 우주항공청 및 한국기상산업기술원과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이하 천리안위성 5호)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협약 금액은 총 3천207억원 규모다. 2031년까지 천리안위성 5호의 시스템 및 본체 개발이 진행된다. [→자세히보기]
2025/04/28
'기술자립' 3200억 투입... 저궤도 위성통신 띄우는 정부
스타링크·원웹 등 글로벌 저궤도 위성통신의 국내 상용화가 임박한 가운데, 정부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자립화에 나선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3200억원을 투자해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핵심 기술을 국산화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자세히보기]
2025/04/18
일론 머스크 '스타링크' 이어 아마존도 韓 저궤도 위성 사업 노크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저궤도 위성 ‘스타링크’가 국내 서비스를 앞둔 가운데, 아마존도 한국에 지난해 관련 법인을 설립하며 국내 저궤도 위성 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지상 통신망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인 저궤도 위성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면서,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인 아마존 또한 국내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