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스테이블코인 법안 임박? 개미 채비하는데…"과열" 우려 목소리도
2025/07/25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발의가 임박한 가운데 증시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강세는 미국 의회가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상·하원 모두에서 통과시킨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주에는 지니어스 법안 외에도 △가상자산 시장 명확성 법안(CLARITY Act) △CBDC 감시국가 방지법안(Anti-CBDC Act) 등이 하원을 통과했다. 현재 상원의 최종 의결만을 앞두고 있다. [→자세히보기]
SNS 페이스북 기반의 카지노 게임업체
+29.87%
PKI 기반 보안솔루션 전문 제공업체
+15.01%
디지털뱅킹솔루션, 크로스보더 자금관리 솔루션, 데이터솔루션 업체
+12.31%
금융서비스 업체
+11.14%
카카오톡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업체
+10.71%
모바일 및 유무선결제 서비스업체
+9.23%
금융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8.18%
모바일게임 제작 및 서비스업체
+8.06%
금융단말 및 특수단말 등 제조하는 기업
+5.2%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체
+5.12%
이슈 관련 히스토리
2025/07/25
스테이블코인 법안 임박? 개미 채비하는데…"과열" 우려 목소리도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 발의가 임박한 가운데 증시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강세는 미국 의회가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편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상·하원 모두에서 통과시킨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주에는 지니어스 법안 외에도 △가상자산 시장 명확성 법안(CLARITY Act) △CBDC 감시국가 방지법안(Anti-CBDC Act) 등이 하원을 통과했다. 현재 상원의 최종 의결만을 앞두고 있다. [→자세히보기]
2025/07/24
원화 스테이블코인 윤곽 나왔다…"자본금50억 이상, 1대1 담보"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제도화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발행을 등록제 대신 인가제로 관리하고 이용자의 상환청구권을 보장하는 등 엄격한 이용자 보호장치를 명문화한다는 구상이 여당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나왔다. (...) 안 의원은 "다음주 중으로 법안을 발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각국이 경쟁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제도화하는 흐름에서 한국이 뒤처질 순 없다"고 말했다. [→자세히보기]
2025/07/23
NHN, 스테이블코인 정산사업 나선다
원화 스테이블코인 확산에 대비해 NHN이 블록체인 기업과 손잡고 정산 인프라 구축을 모색한다. 다양한 발행 주체와 블록체인 플랫폼이 혼재된 시장에서 코인과 원화를 교환해주는 중간 계층을 설계하겠다는 목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NHN과 수호아이오는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2025/07/22
美 스테이블코인, 中 CBDC… 디지털화폐 패권 경쟁에 한국만 소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현지 시각) ‘디지털 달러’인 스테이블코인을 법제화하는 ‘지니어스 법안’과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발행을 금지하는 ‘CBDC 국가 방지 법안’에 모두 서명했다. CBDC와 스테이블코인은 모두 디지털 화폐다. 하지만 CBDC는 중앙은행이, 스테이블코인은 테더·써클 등 민간 기업이 발행한다. 미국은 디지털 달러의 발행과 사용, 회수·소각 등을 모두 민간에 맡긴 것이다. [→자세히보기]
2025/07/21
"달러패권 위한 자이언트 스텝"…코인시총 4조달러 돌파
“우리는 세계 금융시장에서 달러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 거대한 발걸음(giant step)을 내디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8일 백악관에서 ‘지니어스법’(GENIUS Act)에 서명한 직후 한 말이다. 지니어스법은 달러 등 법정화폐 가치와 1 대 1로 연동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 내에서 인정한 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법에 최종 서명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금융시장에서 공식적인 법적 지위를 갖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의 통과는) 인터넷 탄생 이후 금융 기술에서 일어난 가장 위대한 혁명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