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2026년 배터리 시장 키워드 톱5
2025/07/09
(...)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배터리 기업들은 나란히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각각 2027년, 2030년 양산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고, 중국 CATL과 일본 도요타 등도 시범 생산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즉, 2026년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첫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자세히보기]
06/1006/1006/1706/1706/2406/2407/0107/011071078686646443432121검색추이363623231010-3-3-16-16누적 등락률(%)
지주사업 및 태양전지 제조업체
+19.84%
석유화학제품 및 전자소재 전문기업
+5%
일렉포일 생산업체
+4.51%
바이오신약 개발 전문업체
+2.37%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전문기업
+2.13%
EMI 사업 및 나노 사업체
+1.52%
설탕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업체
+1.03%
2차전지의 양극소재 생산업체
+0.99%
이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업체
+0.89%
에너지와 환경전문 플랜트 기업
+0.88%

이슈 관련 히스토리

2025/07/09
2026년 배터리 시장 키워드 톱5
(...)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 배터리 기업들은 나란히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각각 2027년, 2030년 양산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고, 중국 CATL과 일본 도요타 등도 시범 생산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즉, 2026년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경쟁이 본격화되는 첫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자세히보기]
2025/07/08
차세대 배터리 발목 잡던 문제 잡았다…KETI, 전고체전지 새 기술 개발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무음극 전고체전지가 현실화에 한 발 더 다가섰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서울대, 중앙대 연구진과 함께 고체전해질 내부에서 은(Ag) 나노입자가 자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해 전지 성능과 수명을 동시에 높이는 원천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관련 성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호에 게재됐다. [→자세히보기]
2025/06/26
전고체 배터리 업체 퀀텀스케이프 주가 폭등…"이정표 넘었다"
전고체 배터리 업체 퀀텀스케이프가 25일(현지시각) 돌풍을 일으켰다. 배터리 화재로 전기차를 꺼리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화재 위험을 대폭 낮춘 전고체 배터리 개발 과정에서 이정표를 뛰어넘었다는 발표가 나온 덕이다. 지난 4월 3달러대로 추락했던 주가는 이날 30% 넘게 폭등하며 단숨에 5달러 후반대로 올라섰다. [→자세히보기]
2025/06/02
이재명, K배터리 지원 약속… "전고체 상용화, 국가가 뒷받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위기에 빠진 배터리산업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R&D(연구·개발) 강화, 국내생산촉진세제 도입 등이 핵심이다. 배터리산업이 살아나야 대한민국 경제가 도약할 수 있다는 게 이 후보 시각이다. 이 후보는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하지만 전기차 수요 둔화와 외국산 저가 배터리 공세로 수익성이 악화돼 산업 전반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배터리 산업은 대한민국 경제 대도약의 핵심"이라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K이니셔티브의 중심축으로 K배터리를 육성하겠다"고 부연했다. [→자세히보기]
2025/05/20
산업부, 2028년까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1824억 투입
산업통상자원부는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기관에 아모그린텍, 충남대학교, 한국광기술원 등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급성장하는 소형 IT 및 웨어러블 기기 시장을 겨냥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 중대형 배터리에 적합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2024년부터 '친환경 모빌리티용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