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美, 의약품에도 관세 추진… 韓 '바이오시밀러' 가격 경쟁력 위협
2025/04/16
미국 정부가 의약품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미국 내 수출 물량을 확보하고 미국 파트너사를 물색하는 등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당장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가격경쟁력이 하락해 매출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세히보기]
03/1703/1703/2403/2403/3103/3104/0704/0704/1404/141061068989727255553838검색추이515133331616-2-2-20-20누적 등락률(%)
ODF 전문회사
+29.95%
반도체 전자부품 및 통신장비 제조업체
+29.94%
지주회사
+10.92%
차병원그룹의 바이오 업체
+7.63%
동물용 백신과 소독제 생산업체
+6.28%
조영제 전문기업
+5.4%
국내 1세대 바이오플랫폼 기업
+5.31%
유전체 분석 전문 벤처기업
+4.79%
인체이식용 피부와 뼈이식재 및 실리콘보형물 제조업체
+4.37%
전문치료 의약품 판매 중심의 제약회사
+4%
광고

이슈 관련 히스토리

2025/04/16
美, 의약품에도 관세 추진… 韓 '바이오시밀러' 가격 경쟁력 위협
미국 정부가 의약품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착수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미국 내 수출 물량을 확보하고 미국 파트너사를 물색하는 등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당장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가격경쟁력이 하락해 매출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세히보기]
2025/04/15
美, 반도체·의약품 수입의 안보 영향 조사…관세 부과 수순
미국 정부가 반도체와 의약품의 수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관세 등을 통해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 관보에서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 것이다. [→자세히보기]
2025/04/14
수출 모멘텀에 美암학회까지…헬스케어, 코스닥 시장 주도주로 '급부상'
헬스케어 종목들이 코스닥시장 주도주로 떠오르고 있다. 고환율에 따른 수출 수혜에 미국 암연구학회(AACR) 참여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투자심리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는 바이오 상장사들이 1분기 실적 반등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수출 비중이 높은 바이오 업계 특성상 매출 대부분을 달러로 수취하는 만큼, 최근의 고환율 흐름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헬스케어 업종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헬스케어 섹터는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구리, 목재, 반도체 등과 함께 전략 물자로 분류된다. [→자세히보기]
2025/04/11
에이비엘바이오 "유한양행과 美암학회서 항암신약 발표"
이중항체 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미국암학회(AACR) 연례 학술대회에 참석해 파트너사 유한양행과 함께 항암 신약 'YH32364'(ABL104)의 비임상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한다. 10일 에이비엘바이오에 따르면 YH32364는 유한양행이 2018년 에이비엘바이오로부터 기술 도입한 항암 신약 물질이다. AACR 연례 학술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암 학회 중 하나다. 오는 25~30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다. [→자세히보기]
2025/04/10
에이비엘바이오 "제2의 알테오젠이 될 상인가"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신약 연구개발 분야 '3대장'으로 꼽혀온 에이비엘바이오. 지난주는 임상 단계에서 가장 앞선 파이프라인이 애매한 임상 데이터를 내놓으면서 주가가 오락가락했다. 증권가의 분석도 긍정과 부정이 섞였다. 하지만 증권가는 후속으로 개발되는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BBB) 플랫폼 기술에 더 주목하라는 점에서는 공통적인 의견을 냈다. 그리고 지난 7일. 에이비엘바이오는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를 기반으로 새로운 퇴행성뇌질환(CNS)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주가는 상한가로 직행했다. [→자세히보기]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