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풀

Title for screen readers

Skip to main content
A container with a focusable element.

본문영역

광고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인수·합병(M&A) 거래에
gregory16
2021/08/30 17:54 (49.1.***.59)
댓글 0개 조회 287 추천 0 반대 0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대규모 인수·합병(M&A) 거래에 대한 각국 정부의 '교차 견제'가 심화되고 있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를 겪은 뒤 주요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공급망 유지를 위해 합병 심사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런 분위기가 최근 메모리 부문 초격차 유지, 파운드리 부문 등에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대규모 M&A를 예고한 삼성전자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에 또 다른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주요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은 연이어 굵직한 M&A 거래를 추진하면서 대대적인 판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향후 수십 년간 주도권을 놓고 '쩐(錢)의 전쟁'이 막을 올렸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지난해 7월 미국의 아날로그집적회로(IC) 업체 아날로그디바이스가 전력 반도체를 생산하는 맥심인티그레이티드를 인수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AMD가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 업체 자일링스 인수에 나섰다. SK하이닉스 역시 90억달러(약 10조5000억원)를 투자해 인텔 낸드사업부를 인수한 바 있다. 이 밖에 지난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미국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업체인 웨스턴디지털이 최근 200억달러(약 23조원)에 일본의 동종 업체 키옥시아에 대한 합병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반도체 업계 M&A 규모는 2018년부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M&A 규모는 1180억달러로 2019년 315억달러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도체 업계의 합종연횡 현상은 동시에 M&A 장벽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가 국가 안보 차원의 문제로 격상되면서 각국 정부는 특정 업체나 국가가 과도한 시장 지배력을 획득할 가능성이 있는 거래에 대해 제동을 걸고 있다. 한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간 자국보호주의가 강해지면서 각국 정부가 전 세계 M&A 거래에 대해 자국 이익에 반하느냐를 검토하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최근에는 당사자 간 계약이 체결된 M&A 거래가 제3국의 반독점 심사기구의 승인 거부로 인해 좌초되는 사례도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M&A 거래에 먼저 제동을 걸기 시작한 것은 중국이다. 중국은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와 비슷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M&A와 관련한 반독점 심사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SAMR는 주요 반도체 기업 인수 때마다 뚜렷한 이유 없이 승인 절차를 미루거나 허가하지 않으면서 거래를 무산시키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AMAT)와 일본 반도체 기업 고쿠사이일렉트릭의 M&A다. 지난 3월 중국은 양사의 M&A 거래 심사를 지연시키면서 결국 거래를 무산시켰다. 당시 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일찌감치 합병을 승인하고 한국과 미국, 유럽연합(EU) 등도 거래를 문제 삼지 않았지만 중국 정부는 9개월 넘게 심사를 지연시켰다. 결국 AMAT는 거래를 포기하고 1억5400만달러의 위약금을 물기도 했다. 업계에선 고쿠사이일렉트릭이 미국 업체로 넘어가면 미국 정부의 수출규제에 따라 중국 업체들의 반도체 장비 조달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본 중국 정부가 거래를 지연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에 대한 승인도 아직 내리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웨스턴디지털의 키옥시아 인수 또한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AMAT·고쿠사이일렉트릭 건처럼 미국 기업과 일본 기업 간 합병이라는 이유에서다. 낸드플래시 시장이 과점 체제로 개편되는 것도 중국 정부에는 부담이다. 인수가 성사되면 1위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뚜렷한 강자가 없던 낸드 시장 판도가 삼성전자, 웨스턴디지털·키옥시아 연합, SK하이닉스·인텔 연합 등 3강 과점 구도로 재편된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세력별 시장점유율은 각각 34%, 33%, 19%다. 3강의 점유율 합계가 86%에 달한다.
중국 정부는 엔비디아의 ARM 인수 역시 독점 우려 등을 이유로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ARM과 관련해 아픈 기억이 있다. ARM이 미·중 무역분쟁의 십자포화를 맞고 있던 화웨이를 대상으로 거래 중단을 선언한 바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각국 정부의 반대로 대규모 반도체 M&A 거래가 무산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M&A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100조원이 넘는 현금 실탄을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M&A 기회를 모색하겠다고 밝힌 삼성전자는 최근 이재용 부회장이 복귀하면서 대규모 M&A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각국 정부의 '인수 불허 리스크'도 커진 상태다. 글로벌 종합반도체 업체인 삼성전자가 M&A에 나서면 경쟁사나 주요국 정부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 또한 높아진 것이다.

gregory16
관심회원수 0 쪽지보내기
작성자 최신글
작성자 최신글이 없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
댓글 댓글접기 댓글펼침
로그인
로그인
PC버전
PC버전
씽크풀앱 다운로드
씽크풀앱
다운로드
고객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