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채권추심 1위 기업
고려신용정보는 1991년 민간업체 최초로 신용조사업 허가를 취득했고, 1998년 채권추심업 무를 허가 받으면서 관련 업무를 시작했으며, 2002년에는 코스닥에 상장함. 주요 매출은 채권추심업 89.4%, 신용조사업 7.9%, 민원대행업 2.7%로 구성됨.
강화된 채권추심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경쟁력
채권추심업은 '부실채권에 대한 효율적인 회수 및 관리'를 통해 채권자의 유동성 확보 및 채무자의 신용회복을 촉진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용역매출이 대부분인 만큼 우수인력 의 유지 및 확대가 매출신장의 주요 요인임. 동사에게 채권추심을 의뢰하는 수요자는 회수 서비스가 뛰어난 동사를 선택하게 되고, 추심인력들은 일감이 많이 몰리는 동사 소속이 되 어 수수료 수입을 올리고자 하니 역량 있는 인력들이 동사 플랫폼으로 들어오길 원하면서 선순환 구조가 완성됨. 2018년 기준 고려신용정보의 채권추심 점유율은 15.1%로 1위를 지 속하고 있음
뚜렷한 이익 개선 추세
2019년 3분기 누적 기준 고려신용정보의 매출액(별도기준)은 840억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했고,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도 전년대비 46.7% 증가한 48억원 시현.
알토란 같은 배당주
고려신용정보는 이미 이익의 상당부분을 배당에 할애하고 있음. 2018년 기준 동사의 배당 성향은 65.5%로 높은 수준. 배당주로서의 매력은 고배당도 있지만 향후 배당금이 유지 또 는 늘어날 가능성이 있느냐임. 동사의 경우 그 동안 지속적인 성장 속에 주당 배당금을 꾸 준히 늘려왔고, 향후 이익 증가에 따라 주당 배당금이 늘어날 소지도 충분하다고 보임. 무 엇보다 올해 견조한 이익 증가로 인한 DPS 상승도 기대되어 매력적.
교보 김지영
현재 213명이 증권가속보3님을 관심회원으로 설정 하였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