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006400) 2021년 배터리는 고속으로 주행~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850,000원 상향
- 2020년 4분기 영업이익(연결)은 3,213억원(20.2% qoq/1497% yoy), 매출은3조 6,260억원(17.5% qoq/28.5% yoy)으로 분기별 최고 예상
- 수익성 호조의 배경으로 1) EV향 중대형전지의 본격적인 매출이 반영 시작,ESS도 수출 물량 증가로 중대형전지 전체 매출(1.74조원)은 46.5% 증가(yoy),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추정
- 2) 원형전지는 전동공구 및 모빌리티 분야의 매출 증가, 높은 가동률 유지로양호한 성장과 수익성을 예상. 전자재료는 우려대비 편광필름의 매출 감소매미, 반도체와 OLED 향 소재 매출 증가는 지속 전망
- 2021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22.2% 상향, 목표주가도 850,000원 상향(2021년 목표 P/B 59.5배).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2021년 성장의 견인은EV향 중대형전지, 글로벌 피어(Peer)대비 낮은 평가, 업계 평균의 밸류에이
션으로 상향 반영
2021년 영업이익은 1조 2,300억원(64.8% yoy) 추정
2021년 매출과 이익은 높은 증가세를 예상
- 1) 2021년 영업이익은 65%(yoy) 증가로 추정. EV향 배터리 매출은 2021년5.9조원, 2022년 8.6조원으로 각각 64%, 47% 증가 예상.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전기자동차 신모델 출시로 중대형전지의 시장 확대, 고객의 다변화와밀도 높은 고가의 제품 등 포트폴리오 변화로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확대되는 시기로 판단. 전사 매출(14.7조원)은 26%(yoy)증가 추정
- 2) 코로나19 이후, 모빌리티(이바이크, 무선 전동공구 등) 환경 구축으로 원형전지(소형)의 성장도 높음. 2021년 11%~12% 영업이익률 추정
- 3) 전자재료는 반도체와 OLED 중심으로 소재 매출 증가, 고부가 제품 비중확대로 매출과 이익 성장도 지속
대신 박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