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M 가격 상승 속도가 시장 예상을 상회할 전망
DRAM 현물가(8Gb 2400Mbps)는 저점 대비 75% 상승했다. 현물가와 고정가의 괴리가 33%까지 확대되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지난 Cycle 상단의 44%에 불과하다. DRAM 고정가 상승 여력이 많이 남아 있다는 증거다. 2021년 분기별 DRAM ASP 상승 폭을 1Q +7%, 2Q +10%(기존 +9%), 3Q +14%(기존 +12%), 4Q +9%로 상향한다.
서버 수요가 바닥을 확인했고, 모바일과 PC 수요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2Q21부터 DDR5 전환이 개시되면, 공급제약과 가격 프리미엄 효과로 DRAM ASP 상승 폭이 예상을 상회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NAND 가격도 2Q21 중 반등, 3Q21부터 강한 상승 전망
NAND도 턴어라운드 시그널이 발생했다. 1Q21 NAND 수요 Bit Growth는 +10%로 예상된다. 2011년 이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NAND Bit Growth가 동반 증가(QoQ)한 경우는 없었다. NAND 가격은 2Q21 중 반등을 시작하고, 3Q21부터 강하게 상승할 전망이다.
NAND 업체들의 투자 기조는 1H21 이후 당분간 보수적일 전망이다. 1Q21 1위 업체인 삼성전자의 NAND OPM이 15%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NAND 업체들이 업황 회복에 주력할 시점이다. NAND 투자는 업황 회복을 확인할 2022년이 되서야 급증할 전망이다.
실적 추정치 상향하며, 목표주가 20만원 제시
2021년 및 2022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12.2조원, 21.3조원으로 1.1%, 29.4% 상향한다. 이번 상승 Cycle의 실적 고점은 2Q22로 예상한다. DDR5 전환, NAND Double Stack 적용 등 공급 제약 심화로 2022년 연간 영업이익은 지난 2018년 고점을 상회할 전망이다. 이에 목표주 가를 기존 19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한다. 향후 가파른 실적 컨센 서스 상승에 의한 주가 상승 지속을 예상한다.
투자 포인트는 ① 1Q21부터 실적 급증 구간 진입, ② 2022년 사상 최대 실적 기대감, ③ NAND 턴어라운드 구간에서 Re-rating(인텔 인수 효과) 기회 등이다. 적극적인 매수를 추천한다.
신한 최도연, 나성준
현재 214명이 증권가속보3님을 관심회원으로 설정 하였습니다.
운영배심원 의견
신고하기